탄소법 후속조치로 탄소산업육성 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 세미나가 개최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와 법제사법위원회가 주최하고 한국탄소융합기술원과 탄소융합산업연구조합이 주관한 ‘탄소법 후속조치 관련 정책세미나’가 21일 전경련 회관에서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는 국회 산업위 조배숙 의원, 정운천 의원, 법사위 이춘석 의원과 산업부 유정열 국장, 전북도 유희숙 국장, 강신재 탄소융합기술원 원장, 하성규 한양대 교수 등 120여명이 참석했다.
주제발표는 한양대 하성규 교수가 ‘탄소법 제정에 따른 전북 탄소산업육성 정책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하성규 교수는 세계 탄소복합재 시장은 2012년 2조원 규모였으나 2020년에는 3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며 산업전반의 에너지절감을 위해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2025년 탄소 소재 세계 4대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세계수준의 기술력 확보 △기업 혁신 역량 제고 △기술사업화 및 판로 지원 △법 제도 기반 구축 마련 등 탄소산업 발전 대응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탄소산업 발전을 위해 △정부의 탄소산업 전담부서 신설 △탄소융합기술원을 탄소 융복합기술 전문연구소로 지정해 자원을 최대한 활용 △탄소복합재 허브 구축, 탄소소재의 저변화, 탄소선국진국의 격차 해소 △미국, 유럽 수준의 연비규제 마련, 환경문제 해결, 탄소산업 부흥 등의 국가차원의 육성계획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더불어 △전북의 메가 탄소밸리, 경북의 탄소성형 클러스터의 예산을 2017년부터 집행하고 △지역대학과 연구소 연계 벤처캠퍼스 조성 △창조경제 혁신센터와 발전 연계 등 지역 탄소산업 발전 클러스터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진행된 지정토론에서는 △유정열 산업부 소재부품산업정책관이 탄소법 제정으 통해 본 정부의 탄소산업 육성 필요성과 앞으로의 정책추진 방향 △유희숙 전북도 경제산업국장이 전북도의 산업여건과 연계한 탄소산업 육성전략 및 미래비전 △김준경 KIST 전북분원장이 탄소소재 기술개발의 세계적 동향 및 한국 탄소산업의 기술경쟁력 확보방안 △강신재 한국탄소융합기술원장이 탄소융복합기술연구협의회 등 탄소산업 기술의 연구·도입·보급 촉진을 위한 산학연 협의체 구성방안 △방윤혁 효성 상무가 정부의 탄소소재 융복합기술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R&D·인프라·상용화 등 분야별 정책제언 △이동근 탄소융합산업연구조합 이사가 탄소법 제정에 따른 민간부문 발전 방안 △박수진 인하대 BIN 융합공학과 교수가 탄소산업 전문인력 양성 전문기관 지정 및 효과적인 정책추진방안 △하성규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가 탄소소재 융복합기술의 국제협력 촉진방안을 발표했다.
강신재 탄소융합기술원 원장은 “탄소산업이 국가적인 사업이 되려면 실용화가 돼서 상품화가 이뤄져야 하기 위해 모든 것을 총괄하기 위한 국책 연구기관이 필요하다”며 “국가적인 사업으로 성과를 내고 비전을 제기하기 위해서는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해외기업의 참여도 필요하며, 빠른 시간에 성과를 재촉하기 보다는 먼 미래를 내다보고 우리나라 탄소산업 발전을 위한 진정한 정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성규 교수는 “전세계가 아시아 시장을 관심있게 보고 있다”며 “세계의 변화와 흐름에 맞는 기술을 개발하고 국제협력을 어떻게 이끌어내는가에 탄소산업 성공이 달렸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유정열 산업부 소재부품 산업정책관은 “산업부에서 탄소법 시행령제정과 관련해 세부실천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며 “기본적으로 탄소산업도 기본적으로 수요와 연계되지 않으면 어렵기 때문에 배후산업이 필요하며, 중소중견기업의 활용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또한 “탄소산업은 내수만으로 어렵기 때문에 글로벌 관점에서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위치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