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강이 창립 62년만에 국내 3번째 용광로(고로) 보유 제철사로 이름을 올렸다.
동국제강은 현지시각으로 지난 10일 브라질 북동부 쎄아라(Ceara)주 뻬셍 산업단지의 CSP 제철소에서 연산 300만톤급 용광로 화입식을 거행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을 비롯해 장인화 포스코 부사장과 세르지오 레이찌 (Sergio Leite) CSP CEO를 비롯한 CSP 임직원이 참석했다.
동국제강이 브라질 쎄아라주 투자를 시작한 2005년 이후 11년만으로 2012년 7월 제철소 착공 이후 약 4년에 걸친 그린필드 공사(인프라에서부터 공장까지 건설)의 마무리다.
이날 동국제강 장세욱 부회장은 “CSP는 고로제철소를 만들겠다는 3대에 걸친 꿈의 실현이며 2005년 브라질 쎄아라에 제철소를 짓겠다는 약속을 지켜낸 일”이라며 “CSP를 세계 최고의 제철소로 만들고 지역사회와 더불어 성장하는 정신을 브라질에서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동국제강은 1965년 삼화제철소의 소형 용광로를 인수해 활용한 바 있고 현재 인천과 포항에 3개의 고철을 녹여 쇳물을 만드는 전기로 공장(총 360만톤 생산능력)을 운영하고 있지만 현대식 대형 용광로를 처음부터 투자해 가동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포스코, 현대제철에 이어 3번째로 용광로 제철소를 보유한 기업으로 도약하게 됐다.
CSP제철소는 동국제강(30%)이 기획자와 슬래브 구매자로서 참여했고 브라질의 발레(50%)는 철광석 원료를 공급하고 포스코(20%)가 기술부문과 가동을 맡는 역할로 합작해 탄생했다. 총 55억달러 규모가 투자됐으며 연간 300만톤의 철강 반제품(슬래브)을 생산할 수 있다.
동국제강은 CSP에서 생산하는 슬래브 중 60만톤은 한국으로 들여와 직접 사용하고 100만톤을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함으로써 글로벌 철강사로 활동하게 된다.
특히 용광로 제철소가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던 동국제강은 CSP를 통해 후판사업의 원가경쟁력을 높이는 데 최우선 집중할 방침이다. 동국제강은 CSP의 슬래브를 사용할 경우 후판 사업부문에서만 100억원 상당의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미 지난해 후판 사업 구조조정으로 턴어라운드에 돌입한 후판 사업은 CSP 를 통해 확고한 수익 사업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계산이다.
동국제강은 CSP를 활용해 후판 사업의 고도화도 병행한다는 전략이다. 동국제강은 CSP 제철소 소재를 사용하여 후판 고급강(TMCP 후판 및 열처리 후판 등 원유수송용, 플랜트용, 보일러용 등에 사용되는 후판류) 비중을 2015년 기준 15% 수준에서 2017년 30%까지 높일 계획이다. 용광로 제철소인 CSP에서 고급강용 소재를 원가 수준에서 조달할 수 있다는 장점을 활용할 경우 추가로 100억원 상당의 수익 증대와 1,000억원 상당의 매출 증대가 가능하다.
이외도 동국제강은 CSP를 활용한 원자재 협상력 제고, 직접 설계한 원자재 사용에 따른 품질 안정성 향상 등의 간접 비용 절감 효과까지도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