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이노텍이 신소재와 정밀가공 기술로 스마트폰 앞면의 강화유리를 터치하면 지문을 인식하는 새로운 모듈이 개발했다. 기존에 스마트폰 겉면에 별도의 지문인식센서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져 디자인 개선과 방수·방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LG이노텍(대표 박종석)은 강화유리에 지문인식센서를 내장한 ‘글라스 일체형 지문인식모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스마트폰 지문인식모듈은 센서가 사용자의 손에 직접 닿아야만 되는 인식형으로 원형이나 사각형 센서가 스마트폰 겉면에 장착된 버튼형이었다.
새로이 개발된 글라스 일체형 지문인식모듈은 강화유리 하단 뒷면에 깊이 0.3밀리미터(mm)의 얕은 홈을 파고 그 안에 센서를 부착한 제품이다. 초정밀 가공 기술과 결합 공법을 적용해 강화유리에 손을 대면 지문을 감지한다.
글라스 일체형 지문인식모듈은 센서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아 매끄러운 디자인의 지문인식 스마트폰을 구현하기 좋다. 지문인식 가능 영역은 완제품 디자인에 맞춰 다양한 패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고강도 강화유리로 센서를 감싸 방수 방진에 유리하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고분자 특수신소재도 들어갔다. 두 부품의 접착면 유리 두께가 0.25mm로 얇지만 스마트폰 무게 수준인 130그램(g)의 쇠구슬을 20센티미터(cm) 높이에서 떨어뜨려도 깨지지 않는다.
또한 지문을 오인식하는 확률도 0.002%로 제로 수준에 가까워 보안성도 뛰어나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 제조업체는 원하는 강화유리 브랜드를 선택해 글라스 일체형 지문인식모듈로 공급 받을 수 있다. LG이노텍이 협력사와 함께 세공 기술을 공동 개발해 어느 브랜드나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LG이노텍은 지문인식기능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고 신규 고객 확보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지문인식모듈의 전세계 출하량이 지난해 4억 9,900만 개에서 2020년 16억 개로 3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김창환 R&D센터장(전무)은 “고객가치를 최우선으로 차별화 기술 개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는 혁신 제품을 지속 선보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