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제대식)이 미래 수출을 주도하고 세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표준기반 마련을 위한 전략을 발표하는 자리를 가졌다.
국표원은 1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미래 신성장 5대 산업 표준기반 연구개발(R&D) 추진전략 발표회’를 열었다.
행사는 ‘내일을 변화시키는 힘, 표준으로 창조하는 미래 신성장’이라는 주제로 국가 연구개발(R&D)와 표준연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발표회에서는 국내기술로 세계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착용 가능한 스마트기기(웨어러블 스마트기기), 스마트헬스, 차세대소재 등 미래 성장동력분야와 경쟁력 향상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스마트공장, 차세대철강 등 주력산업 분야에 대한 표준기반 연구개발 이행안(R&D 로드맵) 및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국가 연구개발(R&D)의 추진으로 발생하는 기술과 제품 출시시기를 예측 하고, 관련된 국내·외 표준화 동향 분석 및 표준의 적시 제정을 통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표준기반 연구개발 이행안(R&D 로드맵)을 개발, 보급했다.
또한 그 동안 국가표준코디네이터의 지원을 받아 제품개발 또는 사업화에 성공한 대표 중소기업의 제품 전시회도 동시에 진행했다.
이번 전략 발표회의 주요 내용은 신성장 동력으로 각광받는 착용 가능한(웨어러블) 스마트기기, 스마트헬스 등에 대한 연구개발(R&D) 동향 및 표준화 경향(트랜드) 등이 포함되어 있다.
착용 가능한(웨어러블) 스마트기기 분과에서는 에너지 저장장치, 전자섬유 기술에 대한 신기술 및 표준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국제표준화기구(IEC)내에 기술위원회를 신설하려는 우리 전문가들 활동도 소개되었다.
또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스마트헬스 케어, 빅데이타 분석을 통한 질병치료 표준화 동향 등이 제시되며, 의료정보 데이터표준기술(HL7)을 활용하여 국내 병원정보시스템을 개발한 사례도 발표 되었다.
국표원은 이번 발표회 이후 국가표준코디네이터 웹사이트(www.kscodi.or.kr) 표준전략 연구개발 이행안(R&D 로드맵)과 표준화 경향(트렌드)을 제시하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표준과 융합된 사업화 지원 등에 지속적으로 힘쓸 예정이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