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이 학·연 협력을 통해 나노셀룰로오스의 에너지와 의공학용 분야 연구개발에 나선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은 지난 17일 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회의실에서 나노셀룰로오스 관련 과제(37억5,000만원, 5년)인 ‘나노셀룰로오스 이용 에너지 및 의공학용 첨단 신소재 연구’의 위탁과제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이를 에너지 및 의공학 산업에 활용할 연구를 본격 추진한다 밝혔다.
이날 주관기관인 국립산림과학원 관계자를 비롯해 강원대, 세종대, 서울대, 순천향대, 울산과학기술원의 위탁연구 책임자들이 모여 나노셀룰로오스의 미래 성장 연구와 대량 생산 방법에 관한 연구의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9개월 동안 국내 나노셀룰로오스 관련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 상업화 연구가 진행될 계획이다.
나노셀룰로오스란 나무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를 나노(10억분의 1미터)수준으로 분해한 고분자 물질로 강한 기계적 강도와 열 안정성을 가지며 친환경적이고 기존 화학합성 소재와 비교하여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앞으로 5년간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한 기초 및 응용 연구사업을 추진하여 국내 나노셀룰로오스 연구를 세계 중심에 서게 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리튬이온전지 소재 연구를 수행, 기존의 상업용 전극과 분리막을 친환경 소재인 나노셀룰로오스로 대체하였으며, 인공 뼈와 같은 의공학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보고회에서는 R&D 성과 창출을 위해 그동안 진행된 연구사업 외에도 △나노셀룰로오스 대량생산 파일럿 제조설비 구축 △국산재를 이용한 나노셀룰로오스 제조, △제지 및 패키징 산업에 적합한 코팅기술 개발 △나노셀룰로오스의 구조를 이용한 약물전달 시스템 개발 등의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최돈하 임산공학부장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인 만큼 국내 나노셀룰로오스 관련 연구개발이 더욱 활성화되고, 산업화가 가능한 제품이 탄생될 수 있도록 힘써
주시기 바란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한편, 나노셀룰로오스 글로벌 연구개발은 일본에서 178개의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모여 ‘나노셀룰로오스 포럼’을 조직하고 산업화에 대한 검토가 진행 중이며, 미국, 캐나다, 유럽 등에서도 나노셀룰로오스 파일럿 플랜트를 설치하여 연구·개발 및 상용화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