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스프와 코오롱플라스틱이 힘을 합쳐 POM 엔지니어링플라스틱 공장을 가동에 나선다.
코오롱플라스틱㈜과 바스프(BASF)는 한국에 폴리옥시메틸렌(이하 POM) 생산 합작사 코오롱바스프이노폼㈜에 양사가 50:50 지분을 투자해 설립한다고 16일 발표했다.
합작사는 코오롱플라스틱㈜ 김천공장에 연간 생산량 7만톤의POM 생산시설을 신축해 2018년 하반기 가동 예정이다. 이로써 코오롱플라스틱 김천공장은 기존 생산량을 더해 연 15만톤의 POM을 생산, 단일규모로는 세계 최대의 POM 생산단지가 된다.
코오롱바스프이노품㈜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양 사에 공급돼 각 사의 제품 브랜드로 전세계 시장에 공급될 예정이다.
한국의 신규공장이 가동되는 2018년 하반기 이후에 바스프는 독일 루드빅스하펜의 POM 공장
생산을 중단할 예정이다.
POM수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고강도, 고탄성 및 절연성과 화학적 내구성을 지니고 있어 자동차 생산 및 전기전자 제품, 소비재, 의학 및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자동차 경량화 추세와 맞물려 자동차 부품 소재로 인기를 끌고 있다.
코오롱플라스틱㈜의 POM은 코세탈 (Kocetal®)이라는 상품명으로 시장에 공급되고 있으며 바스프의 울트라폼(Ultraform®) 은 다양한 물성의 POM을 제공한다.
코오롱플라스틱 장희구 대표이사는 “이번 합작으로 두 회사가 가진 강점들이 더 강화됨으로써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만들 것”이라며 “코오롱플라스틱의 선도적인 기술력과 기존 인프라의 효율성이 더욱 높아져 괄목할 만한 시너지를 낼 것” 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합작이 향후 양사의 협력 기회를 더욱 넓혀 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 대표는 “증손회사 설립 규제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과 국회의 입법 덕분에 바스프와 신규 합작사를 만들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바스프 퍼포먼스 원료사업부문을 총괄하는 라이마르 얀(Raimar Jahn) 사장은 “POM 시장이 전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이번 합작으로 특히 아시아 시장의 고객들에게 혁신적이고 기능성높은 제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