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기획 순서
1. 탄소나노튜브
2. 은나노와이어
3. 메탈 메쉬
4. 3D 프린트
5. Li 이차전지
6. 연료전지
7. 태양전지
8. 탄소섬유
9. 형상기억합금
10. 초전도재료
최내윤 변리사 나눔국제특허사무소
E-mail : master@ipnanum.com
Tel(代) : 070-4947-7887
글로벌 특허 TOP3…日54%·美34%·韓12%
특허출원순위, 조셉슨효과장치·케이블·초전도장치 제조
초전도 현상(superconductivity)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온도가 “임계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저항이 0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초전도체는 저항이 없어 전류가 흘러도 전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특성이 있으며, 자기장을 차단하기 때문에 자석 위에 가져가면 자석 위에 떠 있게 되는 마이너스 효과를 발생시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초전도체는 에너지 분야에 있어서, 초전도 변압기, 초전도 케이블에 응용 가능하며, 교통 분야에 있어서, 초전도 자기부상열자, 초전도 전기자동차에 응용 가능하며, 의료 분야에 있어서, 자기공명영상, 핵자기 공명 장치에 응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초전도체 기술에 대한 특허 동향을 통하여 현재까지 어떻게 발전해오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국가별 및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 보았다. 1986년 1월 이후 출원된 전체 특허 검색 건수는 24,905건에 이르며, 국가별로는 일본의 특허점유가 13,480건으로 5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미국의 특허점유가 8,520건 34%, 한국의 특허점유가 2,905건 12% 순서로 나타났다.
연도별 출원동향을 살펴보면, 1990년 초반에 특허 출원이 급격이 증가한 양상을 보이며, 1990년 중반 이후에는 특허 출원 건수에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1990년 초반에는 일본의 특허 출원의 급격한 증가가 전체 출원 건수의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난다. 초전도체 분야에 있어서, 일본의 선행 연구가 다른 국가에 비하여 앞서는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미공개 기간이라 함은 특허법 제도 상 출원일 후 1년 6개월 이후에 공개되기 때문에 검색이 되지 않는 구간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한국 특허청(KIPO)의 다수 출원인을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한국전기연구원 211건, 스미토모 120건, 엘지전자 116건 순서로 특허 출원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공공기관의 특허 점유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며, 민간 기업의 특허 출원도 활발한 것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미국 특허청(USPTO)의 다수 출원인을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GE의 특허출원이 475건으로 활발한 특허 출원 동향을 보이고 있고, 그 뒤를 이어, SUMITOMO, SIEMENS, HITACHI의 특허 출원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난다.
계속하여 국제특허분류 코드(IPC)를 기준으로 기술 분류 별 특허출원 현황을 살펴보았다.
대체적으로 초전도 기술은 제조 기술과 관련된 H01L 코드 특허가 1,097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며, 응용 기술과 관련된 H01B(케이블 관련), H01B(초전도성을 이용한 장치) 관련 코드가 그 뒤를 잇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위즈도메인 DB 기반의 특허평가점수에 따른 상위 출원인을 검토해보았다.
특허평가점수는 미국 등록 특허를 대상으로 하며, 피인용횟수, 패밀리 특허 수 등을 기반으로 특허상호간의 가치를 비교한 점수다. 특허평가점수 총점 10점 중 9점 이상을 획득한 특허는 66건이며, 이 중 CEDAR RIDGE RESEARCH의 특허 점유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상, 간단하게 초전도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특허 동향을 살펴 보았다.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 면에서는 90년대 초반 집중적인 특허 출원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며, 일본의 특허 출원이 활발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한국에서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양자간의 특허 출원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므로 산학협력을 통한 R&D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몇 개월간 10개 기술 주제에 대하여 간단하게 특허 동향을 살펴 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또 다른 주제의 특허 뉴스로 찾아 뵙겠습니다. 애독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