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6-01-12 09:16:47
기사수정

▲ 철강협회 신년인사회에서 (左부터) TCC동양 손봉락 회장, 고려제강 홍영철 회장, 철강협회 송재빈 상근 부회장, 동국제강 장세욱 부회장, 권오준 철강협회 회장,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현대제철 우유철 부회장, 세아제강 이순형 회장, 동부제철 김창수 사장, 박영동 한국철강자원협회장이 기념촬영에 응하고 있다..

철강업계가 수요부진과 공급과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권오준 철강협회 회장이 더욱 과감한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철강협회(회장 권오준)는 1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소재 포스코센터 서관 18층 스틸클럽에서 2016년 철강업계 신년인사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권오준 회장, 현대제철 우유철 부회장 등 철강업계 대표 및 임원, 학계 및 연구소, 철강수요업계 등 철강관련 인사 25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서 권오준 한국철강협회 회장은 신년 인사말을 통해 “최근 철강업계에 닥친 도전과 시련은 너무 크며, 사즉생(死卽生)의 각오와 창조적 혁신으로 철강인의 저력을 다시 한 번 발휘하자”고 밝혔다.

이의 일환으로 국내 철강업계에는 △과감한 구조개혁 △수요업체와 상생을 통한 산업생태계 강건화 △핵심기술과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등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먼저 권오준 회장은 “세계 철강업계는 7억톤이 넘는 과잉설비와, 업체간 출혈 경쟁으로 글로벌 생존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어 국내 철강업계도 종전의 설비증설 위주의 외형확대가 아닌 기술력이 뒷받침 되는 내실 있는 성장을 추진함으로써 시장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권오준 회장은 국내 저가 철강수입재 증가로 내수시장의 혼란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수요업체와의 상생을 통한 산업 생태계 강건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기초산업인 철강업은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 없으며, 자동차, 조선, 기계 등의 수요산업과 공고한 파트너십을 구축해 나가는 것만이 국내 철강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고, 대한민국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권 회장은 “국내 철강산업은 중국 등 후발국의 추격을 뿌리치고 동시에 선진 철강사를 따라잡아야 하는 넛 크래커(Nut Cracker)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산·학·연·관과의 협력체제를 강화해 고부가가치 강재의 개발 등 혁신기술 개발에 매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지난해 우리 철강산업은 세계 5위의 생산과, 수출 3위의 위상을 굳건히 지켜내었고, 한·중 FTA 발효를 통해 중국 철강시장을 에워싼 관세장벽의 빗장도 열어 우리 철강산업이 처한 현실이 어둡고 실망스럽기만 한 것은 결코 아니다”며 “올해에도 일본, 유로존의 회복세가 아직 충분하지 않고, 중국, 브라질 등 신흥국 경제도 낙관할 수 없는 상황에서 철강업계는 자발적인 사업재편과 신성장 동력에 대한 투자 등을 통해, 우리경제의 든든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캐시카우로서 공고하게 자리매김하는 한 해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2840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