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는 12월 경기를 미국 금리인상 파급효과와 파리 테러 영향에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조사 결과, 12월 종합경기 전망치는 97.5로 기준선 100을 하회했다. 이는 내달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파급효과 우려, 파리 테러 영향 등 부정적 요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홍성일 전경련 재정금융팀장은 “12월 기업경기동향조사 결과는 기준선을 밑도는 부정적 전망이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기업 매출이 작년부터 줄고 있고, 내년 성장률도 2%대가 전망되는 등 쉽지 않은 상황이다”며 “사업구조재편(원샷법)·노동개혁 입법, 한·중 FTA 비준의 조속한 추진으로 경제회복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전망치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내수(101.6)를 제외한 수출(98.6), 투자(99.0), 자금사정(97.3), 재고(104.1), 고용(98.6), 채산성(98.8) 등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11월 기업경기실사지수 실적치는 95.5로 7개월 연속 기준치 100을 하회했다. 실적치를 부문별로 보면 내수(97.9), 수출(94.8), 투자(98.8), 자금사정(98.4), 재고(106.2), 고용(98.6), 채산성(96.7) 등 모든 부문에서 부진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경공업(95.7)의 경우 음식류(93.5),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95.8)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부진할 전망이다.
11월 실적(88.6)은 음식류(80.6),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87.5) 등을 중심으로 부진을 기록했다.
중화학공업(94.9)의 경우 1차금속 및 금속가공(74.3), 의약품제조업(85.7), 석유정제 및 화학제품(87.8)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부진할 전망이다.
11월 실적(99.1)은 1차금속 및 금속가공(85.7), 석유정제 및 화학제품(92.7), 고무·플라스틱 및 비금속광물(95.2) 등을 중심으로 부진을 기록했다.
비제조업(101.0)의 경우 출판 및 기록물 제작(125.0), 컴퓨터프로그램 및 정보서비스(125.0)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1월 실적(94.0)은 운송업(82.8), 지식 및 오락서비스업(83.3), 출판 및 기록물 제작(93.8) 등을 중심으로 부진을 기록할 전망이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