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비리와 관련된 총 32명이 기소됐지만, 정준양 전 회장·정동화 전 부회장 등 비리핵심으로 지목된 인사들이 불구속 기소됐다.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2부는 11일 포스코 관련 비리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국민기업’ 포스코의 최근 수년간 부실경영의 원인이 ‘정치권과의 부당 유착’, ‘주인없는 기업에 대한 방만경영’에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따라 포스코 그룹 일부 전·현직 임원 및 하도급업체 비리를 수사해 왔다.
수사결과 정준양 전회장은 이상득 의원 측근에게 부정한 청탁과 뇌물을 공여해 측근기업에게 일감을 몰아주고, 성진지오텍을 인수해 회사에 1,600억원의 손실을 끼치고, 공급 관련 청탁을 받고 뇌물을 수수한 사실이 밝혀져 불구속 기소됐다.
정동화 부회장은 동양종건에 보증서 없이 34억원의 선급금을 지급하게 하는 등 배임행위를 했고, 입찰방해, 자금횡령, 공사수주 편의 명목으로 뇌물을 받은 것등이 드러나 불구속 기소됐다.
또한 동양종건 배성로 회장도 사기, 배임, 배임증재, 업무 방해 등으로 기소됐다.
총 32명이 기소됐고, 이중 17명이 구속됐다. 업체별로는 포스코 전·현직 임원 17명, 협력업체 관계자 13명, 정치인 1명, 산업은행 부행장 1명이다.
검찰은 이번 수사에서 확인된 비리유형과 첩보 등을 토대로 향후에도 관련 구조적 비리가 다시 드러나면 적극적으로 수사할 예정이며, 현진 국회의원의 포스코 ‘기획법인’과 관련된 의혹에 대해서도 계속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포스코는 11일 수사결과와 관련해 주주를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 그리고 국민들에게 심려를 끼쳐 대단히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이번 수사결과 발표 내용과 사내외 진심 어린 조언을 겸허히 수렴해 회사 경영전반을 면밀히 재점검함으로써, 회사 시스템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일신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특히 전 임직원들의 역량을 총결집하여 지난 7월 비상경영쇄신위원회 결과 마련한 ‘혁신 포스코 2.0 추진계획’을 차질 없이 실행함으로써 회사 경쟁력 제고와 건강한 산업생태계 육성 및 국가경제 발전에 지속 기여할 수 있도록 해 이해관계자들과 국민들로부터 조기에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발표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