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철근의 안전품질을 국제수준으로 높이고, 새로 수요가 생기는 고강도 특수내진철근과 나사철근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국가표준(KSD 3504)이 강화된다.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제대식)은 철근 국가표준 개정안을 지난 2일 예고고시했다. 이번 개정안은 철근 생산자, 시공사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해 내년 1월에 고시될 예정이다.
주요 개정내용을 살펴보면 철근에 불순물로 들어 있는 인(P), 황(S)의 최대허용값이 일본기준 (0.050%→0.040%)으로 강화됐다. 또한 항복강도 상한값을 설정해서 취성파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성을 높였다.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진에 대비해 새로운 철근의 사용을 확대, 안전성을 강화하는 기준도 마련됐다. 60m 이상 고층건물에도 띠철근으로 내진보강을 하지 않더라도 내진설계가 가능한 항복강도가 600N/㎟ 이상인 고강도 특수내진철근(SD 600S) 기준을 세계 최초로 국가표준에 반영했다. 또한, 철근 마디가 나사산 형태로 되어 있어 시공 시 철근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는 나사철근 기준도 신설했다.
국표원은 이번 개정안을 통해 고강도 철근, 특수내진철근, 나사철근의 사용 확대로 건물의 안전성이 강화될 뿐 아니라 시공이 편리해지고 철근 사용량과 시공비 절감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H공사에 따르면 기존 철근을 고강도 내진철근으로 바꿀 경우 철근 물량을 20%(84만원/호) 줄일 수 있어서 6만호 기준으로 연간 126억원 절감할 수 있다.
국표원 강병구 표준정책국장은 “이번 철근 국가표준 개정은 건물의 수명을 연장하고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지진에 대비하여 안전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필요를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