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발생한 LPG, 도시가스, 고압가스 등 가스 관련사고 중 고압가스 사고가 전체 10%에 불과하지만 사망자수는 비슷한 수준이어서 더 세심한 안전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22일 산업통상자원위원회 박완주 의원이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제출한 ‘최근 5년간 가스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가스사고는 2010년 134건, 2011년 126건, 2012년 125건, 2013년 121건, 2014년 120건 등으로 총 626건이 발생했다.
이중 LPG가 434건으로 전체 69%를 차지했고 도시가스와 고압가스는 각각 129건과 63건씩 발생했다. 2014년 기준으로 지난해에 비해 LPG 사고는 줄어든 반면 도시가스 사고는 크게 늘었고 고압가스 사고는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인명피해를 살펴보면 최근 5년간 가스사고로 인한 사망자수는 총 70명으로 LPG 26명, 도시가스 23명, 고압가스 21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부상자수는 총 859명으로 LPG가 607명으로 가장 많았고 도시가스 193명, 고압가스 59명으로 나타났다. 고압가스가 부상자에 비해 사망자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은 가스 특성상 다른 가스에 비해 위험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5년간 원인별 사고현황을 살펴보면 사용자 취급 부주의가 205건으로 가장 많았고 시설미비(109건), 고의사고(87건), 공급자취급 부주의(57건), 제품노후(30건)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2014년엔 제품노후에 따른 사고가 최근 5년간 발생한 사고의 절반에 달하는 14건이 발생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5년간 사고 유형별로는 폭발이 243건으로 가장 많았고, 화재와 누출이 각각 162건, 85건을 기록했다. 지난 2014년엔 누출(26건)과 파열(14건)이 전년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사용처별로는 주택이 267건으로 가장 많았고 식품접객업소 91건, 허가업소 46건, 제1종보호시설 39건, 공장 37건 등으로 집계됐다.
박완주 의원은 이처럼 사고는 제자리인데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안전예산은 2012년 374억원, 2013년 415억원, 2014년 525억원 등 해마다 큰 폭으로 증액되고 있어 보다 실효성 있는 개선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체 사고의 69%를 차지하는 LPG사고는 줄어들지 않고 사고원인 또한 시설미비나 제품노후가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농어촌 지역에 ‘마을단위 LPG배관망 사업’을 확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완주 의원은“가스 안전사고는 늦은 대처보다는 구체적인 예방대책이 우선”이라며 “세월호, 메르스 등으로 국민들이 안전에 위협을 느끼는 만큼 정부는 안전정책을 다시 꼼꼼히 점검해야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