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등 산업발전으로 독성가스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사고의 빈도도 늘고 있어 보다 철저한 안전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22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박완주 의원이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독성가스 사고현황’을 분석한 결과 독성가스 사고는 누출 21건, 화재 3건, 폭발 2건, 중독 1건 등 27건이 발생해 3명이 숨지고 17명이 다쳤다.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한 것은 암모니아(NH₃)로, 14건이 발생해 3명이 숨지고 12명이 부상당했다. 염소 가스는 6건에 부상자 3명이 발생했으며, 모노실란 가스로 인한 사고도 4건이나 일어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와 경북 4번을 비롯해 울산과 충북 3건, 충남, 전남, 광주, 경남이 각각 2건, 강원, 대전, 부산, 전북, 제주가 각 1건씩 일어났다.
이처럼 독성가스 사고가 빈번한 것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방산업에서 사용량이 급증한 것과 관련이 깊다. 2013년 기준으로 국내 독성가스 사용량은 액화 18만3,656톤, 압축가스 589만7778㎥로 2010년 대비 각각 96%, 39% 증가했다.
이러한 사용량 급증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에는 독성가스 처리시설이 갖춰지지 않는 등 독성가스를 제대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일례로 지난 2012년 4월과 2013년 11월 광주와 경남의 고물상에서는 버려진 용기에서 이산화황과 염소가 누출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현재 독성가스 비상대응체계 구축 등의 시스템을 구축 중이지만, 여전히 국내에 독성가스 사용처와 회수 등 현황에 대해 안정적으로 처리·관리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다행히 한국가스안전공사는 국내에선 처음으로 독성가스 중화처리가 가능한 산업가스안전기술지원센터를 2017년 준공할 예정이다.
박완주 의원은“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등 첨단산업의 발달로 독성가스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어 선제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하다”며 “센터건립 뿐 아니라 비상대응장비 확충 등의 독성가스 안전관리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