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제조업 혁신 3.0’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스마트공장 보급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조기 투자와 전략수립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엔저 등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올 하반기에 스마트공장 900개를 보급하는 등 정책 집행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올해 스마트공장 보급 목표는 누적기준으로 1,200개사로 2020년까지 1만개사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를 위해 추가경정예산 40억원, 지역투자보조금 100억원 등 재원을 추가확보했고, 8월초부터 즉시 투입에 나서는 등 올해 1,500억원(정부예산 450억원)을 투자해 900개사를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현재 경북(삼성)·광주(현대) 등 2곳의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진행중인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하반기부터 지역 수요에 맞추어 전국 혁신센터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산업부는 국내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수준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고, 미국·독일 등이 주도하고 있는 미래 스마트공장 선점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하반기 중 ‘스마트공장 발전전략(가칭)’을 수립·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계획에는 스마트공장 기술개발 로드맵, 국제 표준화전략, 공급산업육성 계획 등 산업생태계 육성 전략 등이 포함될 계획이다.
산업부 윤상직 장관은 27일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의 성과를 점검하고 중소기업의 제조혁신 노력을 독려하기 위해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인 ㈜에이엔텍을 방문했다. 이 회사는 세라믹 제품 등을 생산하는 주조업체로, 지난해 시범사업을 통해 스마트공장을 도입했으며, 이후 생산정보 수집과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납기 20% 단축, 원가 15% 절감, 설비 가동률 45% 증가 등 큰 성과를 거뒀다.
이날 장남식 대표는 “공학도 출신으로 스마트공장 구축에 대해 어느 정도 확신이 있었지만 실제 성과를 체감하고 보니 만족도가 더욱 높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엔저 등 수출여건 악화로 어려운 상황에서 스마트공장 구축으로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높이 평가”하며, “스마트공장을 어렵고 복잡하게 인식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표준·인증 등을 통해 맞춤형 단계별 성장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