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요자중심의 기술사업화 지원 개편으로 창의적 아이디어의 사업화 성공률을 높인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혁신적 아이디어와 공공연구성과를 활용한 ‘질 좋은 창업’이 활성화되고 기업들이 공공기술을 이전받아 신제품 개발 등 기술혁신을 할 수 있도록 기술창업·기술사업화 지원을 확대하고 관련 사업들을 통합적·체계적으로 개편한다고 27일 밝혔다.
미래부는 금년 총 1,335억원을 투입해 기술창업·기술사업화를 지원하는데, 창조경제혁신센터·창조경제타운 등을 통해 발굴된 우수한 아이디어가 사업화의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창조경제 아이디어-기술창업 특화 프로그램’인 Inno 6+를 신설해 사업화 전주기를 지원한다.
출연연, 대학 등 공공연구기관 보유 기술 이전·사업화 지원사업도 기업의 기술수요를 선제적으로 발굴해 기술공급자와 매칭하는 수요자 중심의 지원체계(Inno T2)로 개선된다.
또한 정부 출연연구소도 기술인력, 장비 등을 활용한 기업의 기술애로 해결 지원을 지속하는 한편, 2017년까지 주요 사업비의 15%를 기술혁신 지원에 투입하는 등 중소·중견기업의 성장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미래부관계자는 기술사업화·기술창업 지원에 2015년 1,335억원을 투입하는 등 지원을 늘려나갈 계획이며, 이를 통해 금년 말까지 500개, 2017년까지 총 1,000개 기업의 기술창업·기술사업화를 추진하고, 2017년까지 총 37,000건의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기술애로 해소를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같은 수요자 중심의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개편으로 창의적 아이디어의 사업화 성공률이 높아지고, 기술사업화·기술창업 세부 단계가 단절 없이 연속적으로 지원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