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4월 경기는 대내외 경기 관련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의 복합적인 영향에 불투명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9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4월 전망치는 97.5, 3월 종합경기 실적치는 101.5를 각각 기록했다. 경기 전망 요인으로 대내외 긍정적·부정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긍정적 전망 요인으로는 △기준금리 인하 △10조원 규모의 추가부양책 △부동산시장 회복세 △美 금리인상 지연 기대 등으로 분석됐으며, 부정적 전망 요인으로는 △저물가 지속 △소비심리 하락 △생산·투자·소비 감소 △수출 감소 등으로 분석됐다.
전망치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투자(100.4)를 제외한 △내수(98.5) △수출(98.3) △자금사정(97.9) △재고(102.3) △고용(97.0) △채산성(99.4) 등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실적치를 부문별로 보면 △내수(104.0) △수출(100.2) △채산성(102.3)은 호조세를 보였고, 그 외 투자(100.0)를 제외한 △자금사정(97.2) △재고(103.0) △고용(98.1)에서는 부진했다.
홍성일 전경련 재정금융팀장은 “4월 전망도 기준선 100을 소폭 하회해 향후 경기에 대한 우려감을 드러냈다”고 진단하며 “정부가 각종 경기부양 조치를 통해 노력하는 만큼 규제개혁과 구조개혁 부분의 성과를 통해 경제활성화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