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일의 풍력에너지 박람회가 제주에서 그 막을 올리며 국내 풍력산업에 대한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제3회 아시아풍력에너지박람회(조직위원장 김의근, WEA 2015)가 2월4일부터 6일까지 3일간의 일정으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에서 개막했다.
아시아풍력에너지박람회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회 신재생에너지정책연구포럼, 제주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창의연구소, 아시아풍력협회, ICC제주, 한국풍력산업협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주관하는 대규모 산업전시회 및 국제회의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하는 박람회는 국내에서 유일한 풍력전문박람회로서 국내외 풍력관계자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으며, 제주 최초의 정부 인증 산업전시박람회 및 지역특화전시회로 매해 인정받음으로써 제주 MICE산업의 영역을 전시산업분야로 확장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박람회는 올해도 컨퍼런스와 전시박람회를 중심축으로 하면서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컨퍼런스에서는 해상풍력을 대주제로 한 다채로운 논의와 최근 침체일로에 있는 한국 풍력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대안으로서 제주 풍력발전사업단지의 개발을 위한 비전과 협력방안 등이 논의됐다.
기조연설은 짐 샌던(Jim Sandon) RES Offshore COO가 ‘해상 풍력 에너지(Offshore Wind Energy)’에 대해서 발표했다.
또한 15개국 바이어들이 참석하는 비즈니스 미팅이 진행됐다.
더불어 제주도민과 어린이들이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풍력에너지를 경험할 수 있도록 △에너지 발전기 조립 △자전거발전기 △에어볼 체험 등 다채로운 체험 프로그램들도 진행됐다.
전시회와 연관해 아시아풍력협회(회장 한경섭)가 아시아 풍력산업의 발전을 위해 각국 풍력협회 대표들과 대표자 회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아시아 풍력협회는 지난해 산업부로부터 사단법인 인증을 받아 올해부터는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김의근 조직위원장은 “아시아풍력에너지박람회가 올해로 3회째를 거듭하면서 매해 성장을 거듭해 왔다. 지난해까지는 아시아풍력협회라는 국제적인 조직을 만들고 풍력박람회를 몽골에 수출하는 등 국제적인 외연을 넓히는데 힘을 쏟았다면, 올해부터는 제주형 MICE로서 지역과 밀착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주력하고자 한다”며 “제주풍력에 관한 대폭적인 프로그램 편성을 통해 제주가 지향하는 ‘2030 카본프리 아일랜드 제주’의 구현을 앞당기고 세계 환경수도로 도약하는 전기를 마련하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