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4-08-18 14:03:35
기사수정

▲ GMEMS 전경과 팹 내부 모습.

정부가 스마트폰, 자동차 등에 들어가는 주요 부품인 MEMS(미세전자기계장치) 센서 육성을 위해 거금을 들여 설립한 시설이 적자난으로 멈춰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산업의 기술 경쟁 속도는 빨라지고 있는데 정부는 민영화를 핑계로 수수방관하고 있어 예산낭비는 물론 기술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MEMS는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의 약자로 기계적인 구조체가 얇은 막 등으로 만들어져 2×2㎜ 크기의 작은 센서 안에 들어가 직접 감지하는 기계장치를 일컫는다. 기존의 센서들에 비해 훨씬 정교한 감도를 가지고 있어 2009년 아이폰에 본격적으로 탑재되면서 각광을 받았다. 모바일 시장에서 혁신을 선보인 이후 자동차, 일반 가전제품 등에 적용이 확대됐고 IoT(사물인터넷)시대가 열리면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국산화율은 ‘제로’에 가까워 지난 2007년 당시 정보통신부는 1,405억원을 투입해 송도에 MEMS팹을 건립했다. 국내 중소 팹리스 업체들의 연구개발물을 샘플로 생산하고 대량생산 및 공정설계 컨설팅을 통해 국산화율을 높이고 산업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당찬 목표로 시작된 것이다

큰 자본금이 드는 만큼 국영기업으로 시작했으나 지난 2011년 실리콘화일에서 이미지센서 관련 사업을 해왔던 신백규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민영화가 이루어졌다. 민간기업이 컨소시엄을 이뤄 320억을 투자해 지금의 지멤스(GMEMS)로 재탄생 한 것이다. 2013년 현재 (주)아이에스시(39.8%) 등 민간기업이 전체 지분의 51%를, 미래부 산하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49%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개발 중심 체계에서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던 지멤스는 신백규 대표의 외주 공정 위주의 운영에 대한 발표를 시작으로 많은 변화를 기대했지만, 얼마못가 이상철 대표로 체제변화를 겪고 만다. 계속된 적자 때문이다.

지멤스는 2013년 4억원의 매출과 145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팹 공정의 효율을 올리기 위해선 신장비의 구매와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클린룸을 클래스 10(0.1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먼지가 10개)까지 관리해야하고 장비 운영에 드는 각종 화학물품과 전기, 온·습도 제어비만 해도 매월 수억원이 소요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정부의 지원은 민영화 이후 운영보조비 대신 한달 운영비도 안되는 정부 과제 지급에 그치면서 적자난은 가속화됐다. 지멤스는 현재 임금 삭감, 임직원 정리 등으로 운영비를 줄이는 자구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적자폭을 줄이지 못하고 있다.

훌륭한 팹이 있지만 정작 국내 팹리스 기업들에게 철저히 외면당하면서 ‘당찬 목표’는 물거품이 됐다. 지멤스가 경영 정상화를 위해 공정의뢰 가격을 적정 수준으로 높이면서 국내 대부분의 팹리스 기업들은 가까운 대만의 인지도 있는 팹에 찾아가게 된 것이다. 고급, 컨설팅, 물류 이송, 의사소통, 납기일 준수 등 지멤스의 장점은 냉혹한 시장논리 앞에서 주춤하면서 MEMS 센서 시장 확대와 국산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 정착도 지지부진해졌다.

때문에 당초 정부의 바람대로 일정 수준의 MEMS 생태계 구축을 위해선 정부의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지만 담당 소관부서는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지난 5월 미래부의 IoT산업 육성에 대한 청사진을 발표하면서 MEMS 팹은 다시 활기를 되찾는 듯 했으나, IoT에서 유독 센서 산업만 관계부처 협업이라는 이름하에 산업부에서 관리하고 있다.

예산을 집행하는 기재부는 지멤스 건립은 미래부가 했을지 모르나, 현재 소관은 산업부가 맡아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산업부는 애물단지가 된 지멤스를 떠안아 일을 진행할 마음은 없어 보인다. 자칫 프로젝트가 실패하면 책임을 져야하기 때문에 미래부에 미루고 있는 것이다.

지멤스 관계자는 “중소기업 육성과 국가산업 발전을 위한 국가 규모의 프로젝트가 관계부처의 소극적 대응으로 국민 세금으로 만든 투자비를 손실한 위기에 처했음에도 나서서 해결해 보겠다고 나서는 이가 없어 안타깝다”며 “수요처인 국내 대다수 영세한 센서업체들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정부와 센서업계가 지멤스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2136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