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문의 에너지 사용량이 전년대비 1.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관리공단(이사장 변종립)은 연간 2,000toe 이상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에너지다소비사업장의 2013년 에너지사용량 분석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2013년 총 신고업체 수는 3,598개 업체로 전년대비 10.6% 증가했으며, 신고업체의 에너지사용량(발전부문 제외)도 8,298만1,000toe로 전년대비 1.5% 증가했다.
에너지다소비사업장 중 산업부문의 에너지 사용량은 8,054만2,000toe로 전년대비 1.2% 증가했으며, 신고업체 수 증가율(전년대비 10.7% 증가)을 고려해보면 실질적인 에너지사용량은 감소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산업부문 전년대비 에너지사용량 증가율을 업종별로 보면, 화공 업종에서 4.5%, 열병합발전 사업장 등이 포함된 산업기타 업종에서 3.9% 증가했다.
반면에 금속 업종에서는 업체수 증가(전년대비 15.2% 증가)에도 불구하고 철강업종의 에너지사용량 감소하면서 전년대비 에너지사용량이 1.2% 감소하여 산업부문 전체 증가율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업종별 에너지사용 점유율은 금속이 3,390만7,000toe로 전체 사용량의 42.1%를 차지했고, 화공(2,205만7,000toe) 및 산업기타(1,562만6,000toe) 업종에서 각각 27.4% 및 19.4%를 차지했다.
에너지다소비사업장 중 건물부문의 에너지사용량은 2013년 243만9,000toe로 전년대비 9.2% 증가했는데 이는 신규 다소비사업장 수가 전년대비 10.8% 증가함에 따른 결과로 파악되고 있다.
건물기타, 학교, 공공, 상용 등에서 전년대비 에너지사용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리조트 등이 포함된 건물기타 업종에서 65.5%로 전년대비 에너지사용량이 대폭 증가했는데 이 또한 신규 다소비사업장수 전년대비 113.9% 증가함에 따른 결과로 분석됐다.
업종별 건물부문 에너지사용 점유율을 보면, 학교, 아파트, 상용에서 전체 사용량의 49.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올해 처음 사용량 신고 대상에 포함된 수송부문 다소비사업장은 총 242개 업체로 이에 대한 통계는 수송부문 사용량신고가 의무화되는 2016년부터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1980년부터 분석돼온 에너지다소비사업장 에너지사용량 통계는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업체 지정, 진단대상 선정 및 냉·난방온도제한건물의 지정 등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에관공 관계자는 “산업부문의 경우, ESCO자금지원, 중소기업 진단보조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 덕분에 에너지를 보다 합리적으로 이용하여 신규 다소비사업장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량 증가율은 미미한데 반해 건물부문은 그렇지 않다”며 “BEMS 등 건물부문 에너지이용합리화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