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농도에서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이산화탄소의 수백, 수천배의 온실효과를 내는 데다 오존층을 파괴하는 프레온(CFC, 염화불화탄소)의 전면 사용금지가 코앞에 다가왔다.
국내외 냉매산업에 격랑을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되는 전면 금지를 앞두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미래는 그리 낙관적이지 않다.
1930년대 미국에서 개발된 프레온가스는 건물, 냉장고, 차량, 선박 등에 냉매로 사용되는 것은 물론 단열재, 포장재, 의류용 발포제, 에어로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돼 왔다.
그러나 1985년 제정된 비엔나협약에서 CFC가 오존층 파괴물질로 규정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이후 비엔나협약의 이행을 위한 구체적 의무사항을 담은 몬트리올 의정서가 1989년 1월 발표되면서 이의 생산과 사용의 규제와 함께 단계적 감축이 진행돼 왔으며 우리나라 역시 1992년 협약에 가입했다.
물론 그동안 이에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이 꾸준히 이어지면서 수소화염화불화탄소(HCFC), 수소화불화탄소(HFC), 과불화탄소(PFC) 등 대체 물질이 개발됐다.
국내에서는 지난 1993년 과학기술연구소(KIST)에서 HFC-134a를 개발하는 등 대체 기술연구에 노력을 경주해 왔으나 이미 미국의 듀폰 등 메이저 업체들이 시장을 선점한 뒤였다.
현재 국내 냉매시장은 CFC와 소수의 HCFC계열을 제외하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최근 중국산 저가 냉매의 수입으로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있다.
한편 HCFC는 오는 2016년부터는 생산과 사용이 규제되며 CU에서는 2011년부터 자동차 에어콘에 냉매로 쓰이는 HFC-134a의 사용을 단계적으로 금지하기로 하는 등 온실가스로 밝혀진 불화가스 전체에 대한 규제를 추진하고 있어 대안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