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고갈과 환경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미래 청정에너지 기술이 선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5차 클린에너지장관회의(CEM)에서 회원국들의 의견을 모아 10대 청정에너지 혁신기술을 선정해 12일 발표했다.
CEM은 향후 10년 간 에너지시장의 변화를 선도할 유망 기술을 선정한 것으로 국제에너지기구(IEA) 등 국제기구와 주요국 기술 로드맵을 기준으로 23개 회원국 회람을 거쳐 최종 확정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회원국이 선정한 10대 유망 기술은 △초고압 직류송전(HVDC) △에너지 저장장치(ESS) △바이오연료 △마이크로 그리드 △탄소포집 및 저장 △초고효율 태양광 발전 △해상풍력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시스템 △빅데이터 에너지관리시스템 △지열 시스템 등이다.
HVDC는 고전압의 교류(AC)전력을 직류(DC)로 변환해 송전하는 기술로써 국가간 전력연계, 대규모 풍력 연계, 양방향 네트워크 최적 운영 등을 지원하는 개념이다.
이를 통해 미래 전력수요 급증 및 발전단가 상승에 대응한 동북아 국가간 계통연계 및 대용량 신재생 발전단지 연계가 기대된다.
ESS는 사용이 적은 시간에 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전력사용량이 높은 시간대나 시기에 공급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안정된 전력수급과 전력피크 시간에 대응할 수 있고, 타 에너지원의 출력안정화, 차세대 에너지저장 기술 선도 및 실증을 통한 산업화 촉진을 기대한다.
국제적인 규제로 관심이 집중된 탄소포집 및 저장(uTILIZATION OF CO2)는 이산화탄소를 화학적·생물학적 방법으로 화학소재 또는 바이오연료로 전환·재활용하는 시스템이다.
플라즈마 분해, 마그네타이트법 등으로 CO₂를 유용한 형태로 전환시키는 기술을 통해서 화력발전소 등에서 배출된 대량의 CO₂를 유용물질로 재이용해 미래 신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관련해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번에 선정된 10개의 기술은 최근의 기술적·정책적 추세가 잘 반영된 결과”라고 평가하며, “특히 중앙집중형 공급원에서 분산형 전원으로의 변화, 에너지 효율향상의 중요성, ICT와 융복합 추세 등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한편, 에너지 자립을 목표로 하는 울릉도에 대해 모의 CEM이 열렸다. 에너지·국제 관계를 전공한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이 각국 대표로 추천받아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원을 활용한 자국의 상황과 경험을 담은 다양한 정책을 제안해 클린에너지 미래에 대한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