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양 섬유소재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됐다. 특히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차원의 섬유소재 산업 발전을 위해 부산시와 전남도, 제주도가 공동으로 연계, 협력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고 있다.
부산시는 전라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등과 공동 기획한 ‘해양 융·복합소재 산업화 사업’이 기획재정부 2013년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부산시가 기획한 최초의 연구개발(R&D)분야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그동안 수입에 의존해 오던 해양 소재의 국산화 및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하고 침체된 지역 섬유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지난 2011년 처음으로 제안됐다.
이번 사업이 시작되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6년 동안 국비, 지방비 등 약 3000억원이 투입돼 해양 융·복합소재 기술개발과 산업화 지원 기반구축 등이 이뤄지게 된다.
구체적인 연구개발사업은 △해양자원 활용형 소재 △생태환경 선진형 소재 △그린십 구현 융·복합소재 △하이테크 해양레저기구 융·복합소재 △차세대 해양구조물용 융·복합소재 등 5대 전략사업이며 부산 강서구 미음산업단지에 해양 융·복합소재 R&D 총괄센터 설립과 전남 고흥과 제주에도 각각 관련 R&D 지원시설 설립을 계획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해양 융·복합소재 산업화 사업은 ‘해양’이라는 부산의 지리적 환경과 지역의 전략산업인 ‘섬유산업’을 연계한 미래 먹거리 창출사업”이라며 “내년 상반기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할 경우 많은 지역기업의 참여로 부산이 해양물류뿐만 아니라 부품소재 분야에서도 실질적인 해양수도로의 지위를 견고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해양 융·복합소재는 수분, 고염분, 심해압력 등 극한의 해양환경에 견딜 수 있으며, 해양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신(新)섬유 및 소재를 말하는 것이다. 초경량·고내구성의 특성으로 인해 선박 구조재 및 추진체, 심해구조물, 해양레저기구, 로프, 어망, 어구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해양 환경규제가 날로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국제해사기구(IMO)는 2020년까지 이산화탄소 30% 저감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국제협정을 발효했다. 이에 미국, 유럽을 비롯한 산업용섬유 선진국과 후발주자인 중국에서도 해양 융·복합소재 개발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아직 개발 초기단계로 우리나라가 이번 사업을 추진하게 될 경우 글로벌 시장 선점을 통한 새로운 블루오션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17420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