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기업이 국가 연구소에서 이전받은 반도체 핵심 공정 소프트웨어 기술이 성공적으로 매출로 이어지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국가핵융합연구소(소장 권면)로부터 플라즈마 기술을 이전받은 국내 중소기업 경원테크(대표이사 서광원)가 반도체 핵심 제조공정에 필요한 SW ‘K-Speed’의 국산화에 성공해 삼성전자에 공급한다고 13일 밝혔다.
K-Speed는 플라즈마를 사용하는 반도체 식각 및 증착공정을 시뮬레이션해 실제 공정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경원테크는 최근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와 성능평가를 완료하고 소프트웨어 공급계약을 체결하게 됐다.
K-Speed는 GPU 기반의 병렬화 성공을 통해 기존의 단일 CPU 기반 제품대비 100배 이상의 획기적인 계산시간 단축에 성공했으며, 실제 공정에 사용되는 복합가스의 반응을 정확하게 연산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개발된 SW는 더 빠르고 정확한 새로운 반도체 제조 공정개발과 반도체 구조개발 등의 신기술 개발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다수의 국내외 기업으로의 판매를 통해 200억원 이상의 매출이 예상되고 있다.
서광원 경원테크 대표는 “출연연과 지속적인 연구협력으로 국내외 반도체 공정해석 소프트웨어 시장에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며, “향후 추가적인 현장 맞춤형 반도체 공정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국산화 기술 확보 및 세계 시장 진출에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