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3-07-23 18:15:20
기사수정

▲ 국내 LED 21社 1분기 경영실적 (단위 : 억원, %).

지난 1분기 국내 LED관련 21사는 총매출 2조5,800억원을 달성해 전년동기 대비 16.8% 증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 합계는 485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5.4% 감소했고 순이익 합계는 38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3.7% 줄었다.

LED 산업은 국내·외적인 경기변동의 일반적 영향을 받으나 고객의 요구변화에 가장 민감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완제품의 수요변화에 밀접한 영향을 받으며 호황 시에는 부품 수급 불균형을 우려한 완제품 업체의 재고 비축으로 실수요 이상으로 발주가 급증하나, 경기 불황 시에는 불용재고 감축을 위해 발주를 최대한 억제해 수요 감소폭이 완제품 보다 더욱 커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LED 시장은 1분기 계절적 비수기에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엔저로 인한 가격 경쟁력 약화도 한 몫 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소재 수입업체들은 엔저로 인한 이익 증대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 기업별 실적

매출 1위를 차지한 LG이노텍은 지난 1분기 1조4,223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18.4%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74억7,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56.2% 감소했고 순손익은 99억4,000만원 손실을 기록하며 적자전환 됐다.

이 같은 실적은 대부분의 제품 판매가격이 하락하면서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익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특히 LED의 경우 TV 시장의 수요가 예상보다 크게 부진하면서 LED BLU 실적도 감소했다.

LG이노텍의 연결기준 전체 매출 중 LED 부문이 차지한 비율은 16.55% 기록했다.

LED조명 전문기업인 서울 반도체는 지난 1분기 2.310억원의 매출을 달성해 전년동기 대비 31.5%의 증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57억2,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46.4% 증가했고 순이익은 95억9,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10.4% 증가했다.

이 같은 실적 개선은 조명 및 자동차, TV용 BLU 등 전부분에 걸쳐 수요가 확대됐기 때문이며 고부가 가치 제품인 LED 조명 매출이 증가한 것이 영업이익 증가에 한몫 했다고 회사는 밝혔다.

일진디스플레이는 지난 1분기 1,725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46.3%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14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9% 증가했고 순이익은 169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7.9% 늘었다.

이 같은 실적은 매출의 97% 이상을 차지하는 터치스크린패널의 매출이 스마트폰의 활황가운데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며 LED의 주요 소재인 사파이어 잉곳 매출은 경쟁업체들의 캐파 증가 및 신규업체 증가 등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감소를 나타냈다.

TV용 BLU, LED용 사파이어 잉곳, 태양광 모듈 등을 생산하는 한솔테크닉스는 지난 1분기 1,241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8.4%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손익은 48억8,000만원 손실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적자폭을 줄이는데 만족해야했고 순손익도 76억1,000만원 손실을 기록해 적자지속을 나타냈다.

이 같은 실적은 매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TV BLU 매출이 글로벌 경기침체로 TV 시장 성장이 둔화됐고 고객사의 해외 생산 확대 및 판가 하락 등으로 감소했기 때문이다.

또한 두 번째로 매출 비증이 큰 태양광 모듈 사업도 유럽 재정위기 및 글로벌 경기침체로 유럽 각국의 보조금 정책이 축소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실적 감소에 한몫 했다.

LED웨이퍼의 경우 글로벌 경기침체 장기화와 맞물린 공급과잉과 가격인하로 인해 침체를 겪었다.

한솔테크닉스의 LED웨이퍼 및 잉곳 매출은 전체 매출의 5.4%를 차지했다.

LED소자를 비롯해 LED소자를 이용한 모듈 제품 군, 일반 조명 군 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에 이르는 제품 군을 생산, 판매하고 있는 루멘스는 1분기 1.237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45.6%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52억8,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7.2%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53억2,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55.8% 증가했다.

루멘스의 이 같은 실적은 매출이 늘었지만 원가 상승 및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반면 외화환산이익의 큰 증가와 기타손실의 큰 감소로 영업이익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순이익이 크게 증가했다.

한국단자공업은 1분기 1,203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20.1%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106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5.9% 증가했고 순이익은 95억3,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6.5% 늘었다.

이 같은 실적은 자동차 및 전자부문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소폭 증가한 반면 LED부문 매출이 두배 이상 증가하면서 실적 상승을 이끌었다.

한국단자공업의 1분기 매출 중 LED가 차지하는 비율은 12.96%다.

알에프텍은 1분기 72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43.8%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37억6,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8.2% 늘었고 순이익은 51억8,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80.3% 증가했다.

알에프텍의 이 같은 실적은 제품 판매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매출이 증가한 것이며 금융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해 순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알에프텍의 매출 중 LED가 차지한 비율은 1% 정도다.

광전자는 1분기 533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14.8% 줄어든 실적이다.

영업손익은 11억6,000만원 적자를 기록했고 순이익은 11억6,000만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적자에서 흑자전환 됐다.

광전자의 이 같은 실적은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산업계 전체가 위축되면서 매출이 감소했기 때문이며 큰 폭으로 증가한 기타수익 덕분에 순이익이 흑자로 전환됐다.

세코닉스는 1분기 463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101.7%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48억7,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25.5% 증가했고 순이익은 44억3,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597.0% 늘었다.

세코닉스의 이 같은 실적은 스마트폰용 및 자동차용 렌즈의 수요 급증으로 매출이 증가하면서 나타난 결과로 주 원재료 중 수지류의 가격이 하락하면서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다.

각종 조명기기 전문 생산기업인 금호전기는 1분기 450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26.3%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손익은 27억원 손실을 기록해 적자전환 됐고 순손익도 33억2,000만원 손실을 기록해 적자전환 됐다.

금호전기의 이 같은 실적은 전부문에서 고르게 매출을 기록했고 특히 LED조명부문의 매출이 크게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의 상당부문을 차지하는 안정기의 매출이 크게 감소하면서 나타난 결과다.

영업손익 적자는 매출 감소에 따른 매출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판매비와 관리비는 전년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해 발생했다.

금호전기의 1분기 매출 중 LED 관련 매출은 31.14%를 차지했다.

유양디앤유는 1분기 299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1.9% 줄어든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5억7,400만원으로 전년동기 적자에서 흑자전환 됐고 순손익은 7,500만원 손실을 기록해 적자지속을 나타냈다.

유양디앤유의 이 같은 실적은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파워부문의 매출이 소폭 감소했고 가격도 조금 하락했기 때문이며 LED 부문의 경우 1분기 수출이 지난해 전체 수출을 초과했지만 국내 매출은 지난해 국내 매출의 1/10에도 미치지 못했다.

루미마이크로는 1분기 299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녀동기 대비 95.6%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4억7,1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51.6% 증가했고 순이익은 5억1,200만원으로 전년동기 적자에서 흑자전환 됐다.

루미마이크로의 이 같은 실적은 일본의 LED 조명 수요 증가 및 LED Tube Module Set 수요 증가로 인한 것이다.

동부라이텍은 1분기 199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27.3%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8억2,1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207.3% 증가했고 순이익은 1억3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0.9% 늘었다.

동부라이텍의 이 같은 실적은 LED 수출이 크게 증가한 것과 CNC전용장비 1분기 국내 매출이 전년 매출과 비슷한 성과를 거둔 덕분이다.

씨티엘은 1분기 199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23.3%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12억1,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745.1% 증가했고 순이익은 8억8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70.5% 늘었다.

씨티엘의 이 같은 실적은 PCB 사업부문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감소해음에도 불구하고 LED 사업부문에서 매출 창출이 시작됐기 때문이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큰 폭 증가는 매출이 감소한 PCB 사업부문에서 전년동기 대비 4배 이상의 영업이익이 발생하고 전체 매출의 24.75%를 차지하는 LED 부문에서 PCB 부문을 초과하는 영업이익을 창출했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오디텍은 1분기 191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10%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24억8,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0.1% 증가했고 순이익은 23억4,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4.5% 증가했다.

이 같은 실적은 포토다이오드 칩 매출이 크게 줄어든 것 때문이며 이익 개선의 엔저로 인한 수입 원자재가격 하락이 영향을 미쳤다.

대진디엠피는 1분기 16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17.2% 줄어든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3억4,1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65% 감소했다. 반면 순이익은 9억6,7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60.7% 증가했다.

이 같은 실적은 매출 감소에 따른 이익 감소 때문이며 큰 폭의 기타수익 증가가 순이익 증가에 한 몫 했다.

프로텍은 1분기 12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14.7%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23억4,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2.9% 줄었고 순이익은 22억3,0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6.7% 감소했다.

프로텍의 이 같은 실적은 반도체용 장비 매출이 감소하면서 전체 매출이 줄었기 때문이다.

미래산업은 1분기 12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41.5%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9억2,900만원으로 전년동기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됐고 순이익은 3억2,200만원으로 역시 흑자전환 됐다.

미래산업의 이 같은 실적은 ATE(Handler)사업부 매출 전년동기 대비 55% 증가한 60억원, SMT(Chip Mounter)사업부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31% 증가한 62억원을 거뒀기 때문이다.

한성엘컴텍은 1분기 98억4,000만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동기 68.3%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손익과 순손익은 각각 22억7,000만원과 21억원 손실을 기록하며 전년동기에 이어 적자지속을 나타냈다.

우리이티아이는 1분기 27억4,000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85%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손익은 12억2,000만원 손실을 기록했고 순이익은 3억1,100만원을 올려 전년동기 대비 70.7% 감소를 나타냈다.

와이즈파워는 1분기 12억5,000만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83.2%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손익은 8억1,600만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흑자에서 적자전환 됐고 순이익은 15억3,000만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46.5%의 증가를 기록했다.

■ 전망

LED산업은 고휘도 등의 기술발전과 가격하락 등에 힘입어 휴대폰, 노트북/모니터, TV BLU 및 일반, 자동차 조명 등으로 응용분야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평판 Display 사업에서 LCD TV 내 LED BLU의 급속한 채용 증가를 중심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지속해왔으며, 정부 차원의 친환경 정책 및 기존 조명 대비 우수한 소비전력 등의 장점으로 인해 LED조명 시장이 산업의 성장을 이끌어나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특히 내년부터 백열전구의 생산 및 수입이 금지된 것도 LED조명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업계는 판단하고 있다.

업계의 분석에 따르면 LED조명시장은 LED CHip 가격 하락과 세계 각국의 백열등 규제 및 절전 정책이 본격 시행되면서 2012년 12조원 규모의 수준에서 2013년 21조원, 2015년 41조원 규모로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1545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