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 해결에 과학 기술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19개 정부 부처가 모인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 제고를 위한 범부처 마스터플랜인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 해결 종합실천계획’(12월 수립예정)을 범국민적 개방형 계획으로 수립하기 위해 19개 부처 17명의 민간위원이 참여하는 민·관협의회를 구성하고 미래부에서 제1회 협의회를 오는 24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참여부처는 교육부, 국토부, 기재부, 농식품부, 문화부, 미래부, 법무부, 복지부, 산업부, 안행부, 여가부, 해수부, 환경부, 식약처, 기상청, 농진청, 방재청, 산림청, 중기청 등이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종합실천계획 수립의 기초작업으로 진행될 ‘사회문제 해결형 R&D 분석체계 및 범부처 관련 실태조사 계획’을 논의될 예정이다.
미래부는 이날 회의에서 확정된 사회문제 해결형 R&D 분석체계 및 실태조사 계획에 따라, 8월내 마무리를 목표로 범부처 실태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후, 사회문제 해결형 R&D 중기 투자전략 및 R&D-법·제도-정책을 연계한 전략로드맵, Total Action plan 마련 등이 차례로 추진된다.
Total Action plan은 기존 또는 신규 R&D 과제에 대해 전략로드맵에 따라 R&D 결과가 수요자에게 전달되고 일자리로 연결되도록 종합적 해결방안이다.
민·관 협의회는 종합실천계획 수립을 위한 국민수요 및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는 창구 역할을 수행하게 될 예정이며, 향후 사회문제 해결형 R&D 유형에 따라 분과를 구분해 관련 부처와 전문가가 함께 분과별 워크숍 등을 통해 계획을 수립해 나갈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이번 협의회는 종합실천계획을 범국민적 개방형 계획으로 수립하는데 있어 본격적인 첫걸음으로써의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