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R&D 중 기초연구 투자 비중 지난해 35.2%에서 2017년 40%로 확대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새정부의 향후 5년간 기초연구 진흥을 위한 중장기 계획이 마련된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창의적 기초연구 진흥을 위한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2013~17)’을 마련하고,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연구현장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를 19일 개최했다.
이번 공청회에는 서판길 울산과학기술대 부총장, 권동일 서울대 교수, 류동수 충남대 교수, 신용현 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손병호 과학기술기획평가원 미래전략본부장 등이 토론에 참석했다.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은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미래부 장관이 관계부처와 협의해 수립하는 것으로, 미래부는 향후 5년간의 기초연구 진흥 비전으로 ‘기초연구를 통한 미래창조사회 구현’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정부 R&D 중 기초연구 투자 비중을 지난해 35.2% 수준에서 2017년 40%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기초연구 양적 성과가 질적 경쟁력 향상으로 연계돼 창조경제를 실현할 뛰어난 인재와 선도적인 지식이 창출되도록 주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SCI 피인용 1% 논문 수를 2017년까지 세계 10위권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세계적 수준의 우수 연구자 수를 2011년 49명에서 2017년 100명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공청회에서는 △추격형→선도형으로의 R&D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해 ‘세계를 선도하는 창의적이면서 도전적인 기초연구를 활성화’할 계획 △과학영재 및 융합형 과학인재 양성, 연구기관 역량강화, 인프라 조성 및 활용 등‘기초연구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전략 △미국, 스웨덴 등과 국제공동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협력네트워크 강화 △‘기초연구의 성과의 활용․확산 강화’를 통해 창출된 연구성과를 기업체 등 수요자에게 널리 확산할 수 있는 체계도 마련 등이 논의됐다.
미래부 관계자는 “이번 공청회 및 관계부처 의견을 수렴해, 6월20일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및 7월4일 본회의를 거쳐 이번 계획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