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중대형 태양광인버터 성능검사기관으로 선정돼 우리 수출기업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원장 서광현)이 지난 18일 KERI를 ‘정격출력 10kw초과 250kw이하 태양광인버터’에 대한 성능검사기관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에너지관리공단을 통해 국내 최초로 중대형 태양광 인버터 분야에 대한 설비인증을 시행할 예정이다.
성능검사기관의 선정으로 중대형 태양광 인버터에 대한 인증절차는 제조·수입업자의 인증신청과 인증기관의 문서심사·공장심사를 거쳐 KERI의 성능검사를 통과하면 에너지관리공단을 통해 인증서가 발급되게 됐다.
태양광 인버터는 태양전지 모듈에서 생산된 DC전압을 가정이나 산업계에서 사용이 가능한 AC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력변환장치를 의미한다.
이에 대한 성능검사를 위해 전기연구원은 2009년 5월부터 총 80억원(지경부 : 57억원, 자체예산 : 23억원)을 투입해 대용량(350kw급) 태양광발전용 인버터 시험설비를 구축했다.
이번 인증으로 국내 중대형 태양광발전용 인버터 생산 업체들은 기존 10kw이하 소형 인버터 생산업체처럼 신재생에너지설비인증을 받으면 에너지관리공단 보급사업 우선 지원, 공공기관 우선 구매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기표원 관계자는 “올해 1월부터 신·재생에너지공급 의무화제도(RPS)가 본격 시행됨에 따라 태양광발전시설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며 “이로 인해 많은 중대형 태양광발전용 인버터 생산업체들도 인증 시행에 따라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전기연구원은 이번 성능검사기관 지정과 연계해 전기제품 성능과 안전에 관한 국제상호인정기구인 ‘IECEE PV’에도 동 품목에 대한 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받기 위해 내년 3월에 정식으로 신청할 예정이다.
또한 내년 하반기에는 국내 발급 인증서가 국제적으로도 상호 인정돼 중대형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관련 국내 수출업체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