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2-09-19 13:06:08
기사수정



中 희토류, 석 달째 수입량 ↑

▲ 2012년 중국·일본산 희토류 수입량 추이.

■ 희토류

희토류의 지난 7월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중국産 수입이 전월대비 22.4% 증가했고 수입량은 154톤이 수입됐다. 반면 일본産 수입은 50톤으로 전월 대비 13% 감소했다. 수입 3위국인 프랑스産은 7톤이 수입됐다.

수입액은 중국産 수입이 전월 대비 9.0% 증가한 417만1,000달러를 기록했고 일본産 의 수입액은 전월 대비 49.2% 감소했다.

▲ 희토류 수입량 및 수입액.

■ 망간(Mn)

지난 7월 망간의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상위 3개국 수입량과 수입액이 모두 크게 증가했다.

수입량의 세부 내역을 살펴보면 인도産이 6,492톤이 수입돼 전월 대비 45.6%, 전년 대비 215.9% 증가하면서 수입량 1위 국가가 됐고 우크라이나産이 4,369톤, 베트남산이 700톤 수입되면서 각각 전월 대비 9.4%, 84.5% 증가를 기록했다.

수입액 역시 수입량 증가에 따라 상위 3개국이 모두 증가해 인도産은 전월 대비 46.6%, 우크라이나産, 베트남産은 각각 전월 대비 7.3%, 92.2% 증가했다.

▲ 망간(Mn) 수입량 및 수입액.

■ 몰리브덴(Mo)

지난 7월 몰리브덴의 수입동향을 보면 수입량 기준 상위 3개국의 수입량 및 수입액이 모두 감소했다. 중국産은 207톤 수입돼 전월 대비 1.3%, 전년 대비 64.5% 감소했고 미국산은 187톤이 수입돼 전월과 전년 대비 각각 59.9%, 18.8% 감소했다.

수입액별로는 중국産이 전월 대비 3.9% 감소한 385만4,000달러, 미국산이 전월 대비 11% 감소한 340만1,000달러를 기록했다.

▲ 몰리브덴(Mo) 수입량 및 수입액.

■ 코발트(Co)

코발트의 지난 7월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수입량 1위국인 중국産은 전월 대비 17.7% 증가한 513톤이 수입됐고 2위인 벨기에産은 전월 대비 26.2% 증가한 493톤이 수입됐다. 그리고 핀란드産이 전월 대비 60.6% 증가한 201톤이 수입됐다.

수입액은 중국産이 전월 대비 19.3%, 전년 대비 166.2% 증가한 1,336만1,000달러, 벨기에産이 전월 대비 20.7% 증가한 1,329만2,000달러, 핀란드産이 전월 대비 61.0% 증가한 517만5,000달러를 기록했다.

▲ 코발트(Co) 수입량 및 수입액.

■ 텅스텐(W)

지난 7월 텅스텐은 중국과 일본産의 수입이 전월 대비 각각 32.3%, 31.2% 증가한 47톤과 22톤을 기록했다. 반면 수입량 3위국인 베트남産은 10톤이 수입돼 제자리걸음을 했다.

수입액은 중국産이 230만3,000달러, 일본産이 207만6,000달러, 베트남産이 41만8,000달러를 기록했다.

▲ 텅스텐(W) 수입량 및 수입액.

Ti·Mo·In·Cr, 가격↑·수입량↓… 관찰 필요

In 주요 수입국 中에서 日로 전환



■ 티타늄(Ti)

티타늄의 지난 7월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수입량 1위인 호주産은 2,153톤 수입됐는데 이는 전월 대비 72.2%나 감소한 것이다. 반면 수입량 2위국인 카자흐스탄은 854톤이 수입돼 전월 대비 무려 98.8%나 증가했다.

수입액 기준으론 카자흐産이 1,192만1,000달러 수입돼 수입액 기준으로 1위를 차지했고, 전월 대비 수입량이 크게 감소한 호주産의 수입액은 오히려 11.7%나 증가한 672만달러를 기록했다.

▲ 티타늄(Ti ) 수입량 및 수입액.

■ 리튬(Li)

지난 7월 리튬의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칠레産은 전월 대비 27.7% 수입량이 증가해 총 1,572톤이 수입됐다. 중국은 전월 대비 13.7%의 수입량 증가를 보이며 85톤이 수입됐고 미국産은 전월 대비 20만6471.4%의 폭발적이 수입량 증가를 기록하며 43톤이 수입됐다.

수입액 기준으로는 칠레産이 전월 대비 25.2% 증가한 790만9,000달러, 중국산이 전월 대비 12.2% 증가한74만3,000달러, 미국이 34만2,000달러를 기록했다.

▲ 리튬(Li ) 수입량 및 수입액.

■ 마그네슘(Mg)

마그네슘의 지난 7월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중국産이 전월 대비 17.1% 증가한 1,058톤이 수입됐다. 그리고 미국이 1톤 미만으로 수입돼 새롭게 마그네슘 수입국가에 함류했다.

수입액은 중국産이 329만달러로 전월 대비 22.7% 증가했지만 전년 대비 4.3% 감소를 나타냈다. 미국産은 1,000달러를 기록했다.

▲ 마그네슘(Mg ) 수입량 및 수입액.

■ 인듐(In)

지난 7월 인듐의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미국産과 일본産이 각각 3톤씩 수입됐고 홍콩産이 2톤 수입됐다. 미국산의 경우 수입량이 전월 대비 50.9% 감소했고 일본産은 전월 대비 11.1% 증가했다.

수입액은 일본産 167만4,000달러로 전월 대비 6% 증가했고 미국産이 전월 대비 212.3% 증가한 133만7,000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인듐의 수입량 감소에도 이 같이 수입액 이 늘어난 것은 미국 인듐 가격이 6배 이상 상승했기 때문이다.

▲ 인듐(In ) 수입량 및 수입액.

■ 크롬(Cr)

지난 7월 크롬의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남아공産이 전월 대비 16.8% 증가한 2만1,006톤 수입됐고, 인도産은 전월 대비 11.1% 감소한 1만2,180톤이 수입됐다. 수입량 3위국인 러시아産은 1,144톤 수입됐다.

수입액 기준으로는 남아공産이 전월 대비 21.3% 증가한 2,391만3,000달러, 인도産이 전월 대비 9.3% 감소한 1,665만1,000달러를 기록했다.

▲ 크롬(Cr ) 수입량 및 수입액.

■ 전체 수입동향 분석

지난 4월 급감했던 중국産 희토류 수입량이 3개월 연속 20~30%의 가파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어 자원 무기화 시대에 큰 위험 요소가 되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한 수입처 다변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인듐의 경우 희토류와 달리 중국産 비중이 6월 이후 급감해 지난달 수입량이 전체의 3.4%에 그쳤고, 일본産 수입량이 점차 증가세를 나타냈다.

수입량이 감소하고 수입단가가 상승한 품목은 전년 대비로는 티타늄, 전월 대비로는 티타늄·인듐·크롬·몰리브덴으로 주의관찰이 요구된다고 관세청은 밝혔다.

▲ 인듐의 일본産·중국産 수입 추이 변화 .

0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1178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