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4-03-17 16:02:56
기사수정


강소성가공법, 초고강도 나노소재 시대연다



■ 기술의 개요

◇ 강소성가공, 결정립 크기 감소시켜 강도 증가

재료의 연성과 인성의 큰 감소 없이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의 하나로 결정립 미세화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미세결정립 제조방법으로는 가공 열처리, 기계적 합금화, 급속 응고, 비결정 공정 등이 있으나 충분한 양의 벌크제조가 어렵고 재료 내부에 상당한 양의 기공(porosity)이 존재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야기돼 대량 생산에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한 결정립 미세화 방법으로 강소성가공이 개발됐다. 강소성가공은 일반적인 소성가공에 비해 심한 변형을 부여해 초미세립 또는 나노결정립을 얻을 수 있는 기술이다.
강소성가공법은 초기 형상변화 없이 많은 소성가공을 부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소성가공을 반복해 일정 소성변형량에 이르게 되면 초미세립화 또는 나노결정립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결정립 크기 감소에 따른 강도 증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결정립 크기의 감소 및 결정립계의 증가에 따른 물리적 화학적인 특성변화가 기대된다.

▲ 나노결정립 소재의 특성 및 가공법 종류.

◇ 기술의 분류

강소성가공법은 대부분의 금속재료에 적용가능하며 다양한 나노금속소재 또는 나노금속복합소재의 제조가 가능해 그 범위가 광범위하다. 강소성가공법은 제조공정상의 특징에 따라 배치형(batch type) 가공기술과 판재 연속 가공기술로 분류할 수 있다.

▲ 강소성가공 분류.

■ 환경변화

◇ 금속소재의 고강도화 한계 돌파 기술로서 시작

강소성가공기술은 기존 상용소재보다 2~3배 이상의 강도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알루미늄·철강·타이타늄·동합금 등 대부분의 금속재료를 고강도화 하기 위한 새로운 공정기술로 연구돼 왔다. 초기에는 금속재료의 결정립 미세화에 따른 항복강도 증가현상(Hall-petch 이론)을 기본 원리로 해 순금속의 강도향상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뤘다. 최근에는 각종 합금의 초미세립화를 통한 기존 상용소재의 한계 강도를 극복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 금속재료의 결정립 미세화와 강도.

◇ 실용화 기술개발 활발

연구 초기에는 금속소재별 강소성가공을 통한 결정립 미세화 기구와 합금성분에 따른 미세화 정도에 대한 기본 개념을 확립하기 위한 실험실적 연구 위주였다. 최근에는 상업적 응용을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초기에는 순금속을 이용한 나노결정립 생성에서 강도 증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강소성가공용 합금 개발 연구가 많이 수행됐으며, 최근에는 상업적 응용을 위한 대형 나노벌크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상용화 기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강소성가공기술의 하나인 ECAP공정은 연속 ECAP 또는 ECAR 공정 등으로 비교적 큰 크기의 나노결정립 소재의 제조기술로 발전됐다. 나노결정립 판재의 경우 ARB(Accumulative Roll Bonding)을 이용해 대형판재를 제조하는 실용화 기술이 개발됐다.

◇ 고강도화 기술에서 기능성 소재분야로 응용범위 다양화

나노소재의 경우 결정립 미세화에 따른 강도향상 특성 이외에도 입계분률의 증가에 따른 물리적 화학적인 특성의 변화가 알려져 있다. 기존의 나노벌크소재는 주로 고강도 경량화 소재로서 구조용 부품에 응용을 고려해 왔으나 최근에는 나노결정립 소재의 균일한 표면특성을 이용한 전자기기용 스퍼터 타겟 재료로서 상업적 응용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진동흡수용 소재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재분야로 적용을 모색하고 있다.

■ 기술의 중요성

◇ 금속재료의 획기적 강도 향상 가능

구조용 금속재료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용강화·석출강화·분산강화 등의 전통적인 강화방법이 사용됐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기존의 기지금속에 합금을 첨가함으로써 물리적·화학적 특성의 변화가 있고 재활용성이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강소성가공법에 의한 결정립 미세화로 나노금속재료를 제조하게 되면 화학적인 특성변화는 거의 없이 강도가 2배 이상 향상이 가능함으로 기존 소재를 효과적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 기존 저렴한 공정으로 나노소재 생산 가능

강소성가공법은 압출·압연·단조와 같은 기존의 소성가공설비를 이용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공정으로 나노소재의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제조된 소재의 경우 기존 소성가공을 통해 부품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기존 금속재료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의 획기적 향상 가능

강소성가공법은 결정립 미세화를 통해 대부분의 금속재료에서 강도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강화기구인 고용강화·석출강화·분산강화 등과 적절히 조합해 사용하게 되면 기존 소재에서 얻기 불가능한 초고강도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결정립계 증가에 따른 기존 소재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 기술분야별 동향

◇ 배치형(batch type) 가공기술

○ ECAP(Equal Channel Angular Pressing) 공정

ECAP 가공법은 아래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두 개의 채널을 가진 다이(die)를 통해 소재를 프레싱(pressing)하는 가공방법으로, 두 채널이 만나는 교차지점에서 채널 안쪽 교차각(Φ)과 바깥쪽 만곡각(Ψ)을 이용해 소재에 강한 전단변형을 부여한다. 이 가공법은 계속적인 반복 변형으로 가공량이 증가하더라도 소재의 단면적 감소를 수반하지 않으므로 재료 내에 높은 변형 에너지를 축적시킬 수 있어 결정립 미세화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ECAP법으로 가공된 금속소재는 결정립 크기가 submicron~nanometer 수준으로 매우 미세하므로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초소성과 같은 부가적인 성질을 얻을 수 있다. ECAP 가공법은 알루미늄(Al)·구리(Cu)·마그네슘(Mg)·타이타늄(Ti) 합금 및 철강재료와 금속간 화합물에 이르기까지 많은 소재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은 다른 금속에 비해 적층 결함 에너지가 높아서 소성가공 중 동적회복이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기존의 소성가공법으로 초미세립경을 갖는 소재를 얻기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ECAP 가공법을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에 적용하면 기존의 소성가공법으로 얻을 수 없었던 초미세립경을 갖는 소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도전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동 및 동합금은 전통적으로 고강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합금원소의 첨가 및 열처리법이 많이 이용돼 왔다. 그러나 고강도를 위해 첨가된 대부분의 합금원소는 전기전도도를 급격히 감소시켜 고강도와 고전기전도도를 동시에 얻기는 상당히 어려웠다. ECAP 등 강소성가공에 의한 동의 결정립 미세화 및 고강도화는 전기전도도를 4%이내로만 감소시킨다. 따라서 동합금의 강소성가공법은 고강도와 고전도도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한 철강재료와 티타늄합금은 강소성가공 중 동적회복과 재결정이 시작되는 온도가 알루미늄·마그네슘·동합금 등에 비해 높기 때문에 결정립 초미세화(나노화)가 용이하며, 100nm 이하의 아주 미세한 결정립 재료도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 ECAP 가공법 모식도.

▲ 나노결정립 Ti 소재의 미세조직 및 고강도-고성형성.


상용소재 대비 2∼3배 이상 강도 향상

화학적 특성변화 없이 기존소재 대체


○ High Pressure Torsion(HPT) 공정

HPT 가공법은 구속전단 가공법의 하나로 고압 하에서 비틀림 변형을 부여하며, 개략도는 아래 그림과 같다. 가공 소재는 디스크 형상이며, 밀폐된 금형 속의 지지대 위에 놓고 위쪽 플런저(plunger)를 통해 주로 수 GPa의 높은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plunger를 회전시켜 plunger와 시편의 마찰력에 의해 시편에 전단변형을 부여한다. 가공 후에도 시편의 형상변화가 없기 때문에 plunger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 많은 변형량을 얻을 수 있다. HPT에 의한 방법으로 순금속·합금·복합재료 등에서 초미세립 조직을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다.
HTP 가공법은 시편에 가해지는 변형량·가압력·변형속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반면 높은 가압력으로 인해 장치의 대형화 및 시편의 크기에 제약이 따르고 있어 연속적으로 HPT를 할 수 있는 연속 HPT법이 개발됐다.

▲ HPT 강소성가공법 개념도.

○ Cyclic Extrusion Compression(CEC) 공정

반복가압압출(Cyclic Extrusion Compression)법은 아래 그림과 같이 반대편에서 소재에 압력을 가한 상태로 왕복하면서 압출을 반복하는 강소성가공법이다. 소재의 크기에 제약이 있고, 강가공을 가해도 아결정립계(sub-grain)가 주로 발달하는 등 가공량에 비해 나노화 효과가 미약해 현재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 반복가역 압출법 모식도.

◇ 판재 연속 가공기술

○ Accumulative Roll Bonding(ARB) 공정

ARB 공정은 일본의 Saito등이 고안한 방법으로 재료의 연속제조가 가능하고 미세조직을 submicron까지 제조가 가능해 나노벌크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 제조공정은 두 개의 판재를 겹쳐 접합압연을 실시하고 이를 절단해 다시 겹쳐 접합압연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반복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두께의 감소 없이 큰 변형량을 부과함으로써 고변형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고, 결정립의 두께도 nanometer까지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초기부터 이종금속을 접합해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신기능을 발현하는 나노벌크복합기능소재를 설계 및 개발하는데 유리하다.
이 공정은 반복 겹침접합 압연법에서는 판재의 압연뿐만 아니라 접합과정도 매우 중요한 공정이므로 양호한 접합면을 얻기 위해서는 겹침 부위의 세척 및 wire brushing과 같은 겹침면에 대한 접합성 확보를 위한 공정개발이 중요하다.
ARB 공정에 대한 연구는 초기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IF steel 등에 적용해 초미세립재의 결정립 미세화 기구를 규명하는 연구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Ni·Cu·Ti·Mg 합금 등 모든 금속재료 및 합금에 적용해 나노소재를 얻고 그 변형거동을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이종금속을 ARB해 새로운 기능특성을 얻기 위한 연구도 병행되고 있다.

▲ 반복겹침압연법(ARB) 공정 개념도.

○ Repetitive Corrugation and Straightening(RCS) 공정

반복주름압연(RCS)에 의한 강소성가공법으로 초미세립경 재료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 공정은 일정 두께의 금속판재를 기어형상의 압연롤에 통과시키거나 기어형 금형으로 눌러서 두께 방향의 변형 없이 판재에 주름 형상의 변형을 부여하고, 이어서 후속 압연롤에서 주름을 펴는 가공을 반복하는 것으로 판재 두께의 변화 없이 가공을 계속할 수 있어 큰 변형량을 소재 내에 축적시킬 수 있다. 초기 알루미늄 등에 적용이 검토됐으나 미세조직의 불균일성 등으로 최근에는 많이 연구되고 있지 않다.

▲ RCS에 의한 강소성가공법 개념도.

○ Shear Rolling(SR) 공정

전단압연(Shear Rolling)법은 상하 롤(roll)의 지름이나 회전속도 또는 마찰계수를 서로 다르게 해 압연과 동시에 전단변형을 가하는 방식으로 비대칭 압연(asymmetric rolling)이라고도 한다. 약 20년 전에 독일과 일본의 Ishikawajima-HarimaEng.에서 도입한 후 1990년대 후반부터 서울대와 일본 Osaka대학교의 Saito팀이 금속판재의 texture 조직제어에 주로 이용했다.
최근에는 steel의 조직제어에 이용돼 1.3μm까지 결정립을 미세화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판재가 두꺼우면 전단변형이 내부까지 균일하게 가해지지 못하므로 박판에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다른 강소성가공법과는 달리 가공할 때마다 두께가 감소하기 때문에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ARB 방식과 결합해 사용되기도 한다.

▲ 비대칭압연법 개념도.

○ Contnuous ECAP 공정

ECAP 가공법의 단점은 압축방식이기 때문에 소재의 길이가 제한돼 연속적인 대량생산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얇은 판재에도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연속 ECAP(일명 ECAR) 가공법은 이러한 ECAP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1998년에 KIST에서 발명한 기술이다. 이 공정은 압출기 대신 압연기를 이용해 재료를 연속적으로 ECA 금형에 공급해 전단변형이 일어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이 방법은 ECAP 가공법과는 달리 소재의 길이에 제한이 없고, 특히 ECAP 가공법으로는 거의 불가능한 얇은 판재도 두께 변화 없이 강소성가공을 가해 결정립의 나노화가 가능하다.
실제로 이 방법을 다양한 재료에 적용한 결과 Al 합금은 200nm, IF (interstitial free) 강은 500nm까지 결정립이 나노화됐으며, 저탄소 후판강을 열간 ECAR 가공한 경우에는 나노 cementite가 분산된 초미세립 ferrite가 생성됐다.
이와 유사한 기술로서 일본 Osaka대학의 Saito팀이 1999년에 발표한 전단가공법(conshearing)은 위성롤이란 특수 설비를 필요로 하지만 ECAR 가공법은 기존의 압연롤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연속적으로 판재 및 사각재를 제조할 수 있는 ECAP-conform 공정이 개발돼 연구 중에 있다.

▲ Continuous ECAP 공정 개략도.


기존소재 물리·화학적 특성 획기적 향상

韓 선진국比 70% 수준, 기술육성 시급


■ 기술개발 주요이슈

도와 성형성이 동시에 우수한 나노 소재 개발

강소성가공법은 비교적 큰 크기의 초미세립 또는 나노결정립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반면 가공에 따른 결정립 내부에 잔여가공조직 및 아결정립계 등의 가공조직의 특성이 일부 남아있다. 초기 소재보다 높은 강도로 인해 실제 균일연신율 등의 성형성에 영향을 주는 가공경화 특성이 매우 낮아 조기에 파단에 이른다. 이러한 낮은 가공경화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 열처리 등을 통해 나노결정립 내부에 미세한 제이상을 석출하거나 합금계를 달리해 가공경화 특성을 증가시켜 강도뿐만 아니라 연신율이 높은 소재를 개발하고자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 대형 벌크형 나노소재 제조를 위한 저비용 연속공정 개발

현재까지의 나노소재연구는 결정립의 미세화와 그에 따른 물성 변화에 집중해 왔으나 최근에는 실용화를 위한 대형 나노벌크소재의 제조와 관련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철강·동합금 등 구조재료에 사용되는 나노결정립 소재의 경우 일정 크기 이상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이 확립돼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단속적인 공정을 연속공정으로 변화시켜 비교적 큰 크기의 나노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강소성가공 공정은 반복적인 가공을 하기 때문에 공정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공정비용을 낮추기 위해서 반복가공 횟수를 줄이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 구조용 소재에서 기능성 소재로 응용분야 모색

초기 강소성가공에 의한 나노소재는 주로 강도의 향상 효과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그러나 구조재료의 특성상 강소성가공에 의해 제조된 나노소재는 비용대비 강도효과 면에서 실제 응용이 곤란하다는 불리한 점이 있다. 최근에는 구조재료보다는 기능재료로서 적용이 고려되고 있다. 주요 분야는 의료용 임플란트, 전자부품용 스퍼터링타겟재료, 전자부품용 고강도 고전도성 소재 등이다. 또한 단일금속의 나노결정립화에 의한 강도 증가이외에 복합분말 또는 다층소재의 강소성가공을 통한 복합소재를 제조해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의 응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해외 동향

강소성가공에 의한 금속재료의 결정립 미세화 연구는 지난 10여년간 러시아·일본·미국 등의 선진 연구기관에서 연구를 주도해 왔다. 러시아는 ECAP공정을 최초로 개발한 국가로서 현재 직경 50mm 이상급의 초미세립 알루미늄 및 타이타늄 합금 빌렛 제조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의료용 기기 등에 대한 상업적 적용을 모색하고 있다. 한편 미국의 Los Alamos 국립연구소, 영국의 맨체스터대학 및 덴마크의 Riso 국립연구소는 기존의 강소성가공법 이외의 새로운 강소성가공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전 세계적으로 연구자의 주목을 끌고 있다. 이들 연구기관은 International nanoSPD committee를 조직해 강소성가공에 의한 나노소재 제조기술 개발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 유럽

유럽의 선도적인 강소성가공 연구팀으로는 러시아의 R. Valiev그룹(Ufa State Aviation Technical University, Russia)을 들 수 있다. 강소성가공기술 중 ECAP(Equal Channel Angular Pressing) 및 HPT(High Pressure Torsion) 가공법으로 알루미늄합금·동합금·타이타늄합금 등에 대해 많은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알루미늄합금(Al-5wt.%Fe)에 대해 HPT 가공법으로 평균결정립 150nm의 소재를 제조하고 특성을 평가한 바 있다. 또한 러시아 Valief와 미국 California 대학의 Mukherjee는 Ti 합금을 HPT 가공해 조직을 나노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영국의 맨체스터 대학은 강소성가공공정을 개발하기보다는 여러 조성의 알루미늄 합금에서 기존의 상업적인 가공방법보다 비교적 높은 소성변형량에서 결정립의 생성거동에 대한 연구를 주로했다. 이를 토대로 기존의 강소성가공법에 비해 낮은 소성가공에서 서브마이크론 결정립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기존 알루미늄의 조직제어방법에 응용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덴마크의 RISO 국립연구소는 압연가공량이 많은 알루미늄 합금 판재에 대한 결정립 생성거동과 강소성가공법인 ARB공정시의 초미세립의 생성거동에 대한 연구를 일본 교토대학의 Tsuji 교수 연구실과 공동으로 수행했다.
이외에도 유럽에서는 나노소재의 제조보다는 금속재료에 있어서 많은 소성변형량을 가했을때 결정립의 생성과 초미세립의 변형거동에 대한 금속조직학적 관점에서의 많은 기초연구가 수행됐다.

◇ 일본

일본의 경우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실용적인 면에서 연구가 가장 활발하다. 그 예로서 1997년부터 알루미늄합금의 초미세립화를 위해 경금속 압연 6개 기업(고베제강소·스카이알루미늄·스미토모경금속공업·일본경금속·후루카와전기공업·미쯔비시알루미늄)와 6개 대학(京都대학·大阪대학·九州대학·富山대학·宇都宮대학·千葉공업대학)으로 슈퍼메탈(알루미늄계) 연구체를 조직해 연구를 진행해 왔다. 그 연구 결과로서 결정립경을 3㎛이하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제시했다.
주요 개발기술에는 ECAP(Equal Channel Anguler Pressing)법, ARB(Accumulative Roll Bonding)법, 저온압연법, 급속가열열처리법, 대압하압연, 이주속압연, 온간가공, 용탕직접압연법 등이 있다.
큐슈대학의 Horita 교수연구실은 ECAP법 및 HPT법을 이용한 나노소재 제조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했다. 연성·초소성 특성 향상을 위한 조직제어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ARB법은 Osaka대학의 Saito 교수와 Tsuji 교수가 공동 창안해 최초로 결정립경 1㎛이하의 알루미늄합금 판재를 제조했다. 그 후 대부분의 금속재료에 적용한 결과 강도가 상용소재에 비해 3배 이상 향상된다는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일본의 경우도 국내와 마찬가지로 나노소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돼 일본통산성 산하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 주관하에 나노테크놀로지에 관련된 연구로 2001년도 총 43억엔의 연구예산이 배정돼 그중 일부가 나노메탈기술개발에 사용됐다. 나노메탈 프로그램은 기존의 슈퍼메탈기술의 진보된 기술로서 재료의 경량화·내열화 등의 특성 향상을 통해 자동차·정보산업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가능한 나노금속을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0년부터는 일본 문부과학성의 신학술영역연구 프로그램으로 Bulk Nanostructure Metals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벌크나노소재에 대한 개념정립, 벌크나노소재 제조를 위한 다양한 제조공정 개발 및 벌크나노소재의 변형기구 규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미국

미국 USC의 Langdon교수 연구실은 1996년부터 일본 Kyushu대학의 Horita-Nemoto팀과 공동으로 ECAP을 이용한 나노화 공정기술을 개발했다. 200nm까지 Al 합금의 결정립을 나노화하고, O-temper 상태에 비해 2~3배 높은 항복강도를 얻었다. 특히 5000계 Al 합금에서는 3×10-2/sec의 고속에서 최대 2000%에 달하는 초소성을 얻었다.
LosAlamos National Lab.의 Zhu박사 연구팀은 RCS공정을 개발해 나노결정립 판재를 제조했다. 최근에는 군사목적으로 ECAP를 이용한 대형 나노결정립제조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다음 표는 각 기술의 발명 시기, 국가, 공정 특성 및 결정립 미세화 수준을 요약해 정리한 것이다.

▲ 강소성가공에 의한 나노소재 - 해외의 선도 기관.

■ 국내 동향

◇ 연구개발 현황

국내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강소성가공에 의한 나노결정립 연구가 시작됐다. 재료연구소(KIMS)는 초기 ECAP법 및 ARB법을 기초로한 강소성가공법을 알루미늄 합금에 적용시켜 서브마이크론 결정립으로 초미세립화하는 고강도화 연구를 1999년부터 국가지정연구실사업으로 시작했으며 대부분의 알루미늄 합금의 강소성가공에 의한 미세립 형성 기구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했다.
이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추진한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으로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단에서 구조용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으로 강소성가공에 의한 나노소재기술 개발사업이 진행됐으며 KIST·재료연구소·한양대·한밭대·포스텍 등 많은 연구팀이 참여해 강소성가공기술에 의한 나노벌크소재 제조에 대한 기초연구와 나노벌크소재의 대형화 및 연속제조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최근에는 다양한 금속소재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와 나노소재의 변형거동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일부 의료용 기기, 전기전자용 고강도 부품 등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병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수행된 대표적인 연구과제 및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 선도 기관

국내에서 수행한 강소성가공법에 의한 나노소재 제조기술에 대한 연구는 대학에서 주로 수행된 나노결정립의 생성기구 및 변형거동에 대한 연구와 정부출연연구소를 중심으로 수행된 나노벌크소재의 연속제조기술로 나눌 수 있다.
국내 대학은 기존의 강소성가공법을 다양한 금속 및 합금에 적용시켜 결정립 미세화 기구와 제조된 나노벌크 소재의 변형거동 평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한양대·한밭대·홍익대·목포대·포스텍 등은 다양한 금속의 나노결정립의 생성 및 변형거동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외에도 많은 대학에서 철강 및 비철소재의 나노결정립 소재 제조와 변형거동에 대한 연구가 수행됐다.
KIST는 기존 ECAP공정의 한계인 불연속적인 공정을 개량해 봉재 및 판재에 적용가능한 ECAR법을 개발해 알루미늄 및 IF스틸에서의 나노결정립 생성과 변형거동 연구를 진행했다. 재료연구소는 알루미늄 합금 및 동합금에 대해 다양한 강소성가공법을 적용시켜 결정립 미세화 기구 및 변형기구를 연구했다.

◇ 기술경쟁력분석

강소성가공에 의한 나노소재기술은 선진국수준 대비 평균 70%정도 수준이다. 나노벌크소재의 제조공정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됐으며 나노벌크소재에 대한 기초이론 및 특성평가기술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쳐져 있어 관련 기술의 육성이 시급하다.

■ 산업 및 시장 동향

◇ 산업동향

강소성가공에 의한 나노벌크 소재 제조기술의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기초연구단계이므로 아직 산업화되지 않았다. 관련기술은 대부분의 금속재료의 나노결정립화를 통한 고성능화가 가능한 기초원천기술로서 그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일본·미국·유럽의 선진국들은 장기적인 계획하에 신기술 개발 및 실용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러시아와 미국은 ECAP를 이용한 대형 Ti 나노벌크소재를 제조해 의료용 임플란트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미국은 Be합금 및 텅스텐 합금을 강소성가공해 나노결정립소재를 제조하고 탄두와 같은 특수 군사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국립연구소를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초고강도 초미세립 탄소강, 고강도 고성형성 알루미늄 나노소재, 고강도 고전기전도도 나노결정립 소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현재까지 실용되지 않았다.

◇ 시장규모 및 전망

강소성가공에 의한 나노소재기술은 금속재료 전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응용범위는 넓다. 상업적인 응용과 관련해 먼저 나노벌크소재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공정과 저비용으로 생산가능한 기술확보가 필요하며 기존 금속소재의 고강도화 및 고기능화를 통해 기존 시장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적용분야 모두에 대한 시장규모를 예측하기는 곤란하기 때문에 최근 상업적 이용이 고려되고 있는 고강도 타이타늄 및 생체용 임플란트 분야의 금속소재 시장 규모를 다음 표에 정리했다.

▲ 강소성가공에 의한 나노소재 - 국내의 선도 기관.

0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1899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