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ESG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공급망 ESG에 대해 가장 잘 아는 대·중견 원청사의 멘토링과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은 ‘2024년 대기업 공급망 관리 실태분석 보고서’를 6일 발간했다고 밝혔다.
주요국에서 인권 및 환경 공급망 실사의 법제화가 진행되고 있는 한편 환경, 사회 및 지배구조(ESG) 공시 의무화 움직임이 국내를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글로벌 규제 환경 변화로 인해 향후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협력사 관리에서 ESG 중요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중소기업의 ESG 대응 능력 제고를 위한 환경 조성과 지원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해당 보고서는 대상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및 협력사 행동규범을 토대로 대·중견기업의 공급망 ESG 관리 활동을 세부활동으로 구분하고, 그 실시여부 및 내용에 대한 분석결과를 담고 있다.
세부활동은 △협력사 평가절차 보유 △협력사 평가항목 보유 △현장실사 기준 및 내용 보유 △평가결과 활용 △진단후 개선사항 제시 △향후 평가계획 △협력사 행동규범 보유 △협력사 ESG교육 △협력사 ESG 평가 지원 △인증획득 지원 △하드웨어적 지원 △패널티 보유 △구매시스템 반영 △기타사항 등 14개로 구분됐다.
분석은 한국거래소 ESG포털에 지난해 9월 30일까지 보고서를 자율공시한 상장 대·중견기업 148개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ESG 평가기관인 서스틴베스트에서 수행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대상기업의 75%가 자체적인 행동규범, 평가기준, 협력사 지원 등을 통해 공급망 ESG 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활동 별로 살펴보면 △협력사 평가 실시(75%) △협력사 행동규범 보유(67.6%) △협력사 평가항목 보유(57.4%) △구매시스템에 반영(52%) 순으로 실시 비율이 높아, 대다수 상장기업이 협력사 ESG 평가체계 구축 등 공급망 ESG 관리를 위한 기초 인프라 마련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자동차(74.4%) △전자부품(66.7%) △전기·통신장비 제조(63.1%) △건설업(60%) △통신업(59.0%) 순으로 공급망 ESG 관리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사 평가결과에 따른 페널티를 적용하는 것으로 확인된 기업은 18.9%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지만, 행동규범 상에 ‘ESG 평가 결과에 따른 페널티 부과 조항’을 두고 있는 기업 비중은 43.2%에 달해 향후 ESG 평가 결과가 거래관계 미치는 영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협력사 ESG 지원 활동은 △교육(41.2%) △평가 컨설팅(31.1%) △장비제공 등 하드웨어적 지원(21.6%) △인증취득 지원(14.2%) 순으로 많아 교육이나 평가 컨설팅에 집중되며, 장비 및 인증 등 실질적인 지원은 비교적 저조한 것으로 보인다.
선진국을 주요 매출처로 삼고 있는 자동차, 장비·부품 제조업종에서 협력사 탄소배출량을 측정, 관리하는 활동이 일부 관찰되고 있는데, 지난 10월부터 전환기간에 들어선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비롯한 글로벌 탄소배출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이러한 협력사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노력에 대한 요구 경향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중소기업 ESG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사의 자체적인 노력도 중요하지만, 공급망 ESG에 대해 가장 잘 아는 대·중견 원청사의 멘토링과 실질적인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업종별로 공급망 ESG 관리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업종에 따라 맞춤형 정부지원을 한다면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56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