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3-12-05 17:10:14
  • 수정 2023-12-05 17:12:38
기사수정

▲ 2024년 자동차산업 전망(단위 : 만대, %)



2024년 국내 자동차시장은 글로벌 경기 부진 영향과 3高 현상 지속으로 수요는 감소하고 생산은 보합세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수출은 지난해 실적 호조에 따른 역기저 효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회장 강남훈, KAMA)는 올해 우리 자동차산업을 평가하고 내년도 산업여건을 전망한 ‘2023년 자동차산업 평가 및 2024년 전망’보고서를 4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세계 자동차 시장은 경기부진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자동차수요 회복세가 약화돼 전년대비 4.1%의 소폭 증가한 9,477만대가 전망된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4.2% 증가 △서유럽은 9.4% 증가 △중국은 1.4% 증가 △인도는 2.5% 증가 △브라질은 8.6% 증가 △러시아는 6.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자동차 시장은 글로벌 경기부진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그 동안의 이연수요가 감소하며 회복력이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요국들의 통화긴축 기조가 지속돼 내수는 감소한 반면 수출은 소폭 증가, 생산은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수의 경우, 완만한 경기회복과 주요 전동화 모델의 신차출시에도 불구하고 전년도 반도체 공급 개선에 따른 역기저효과와 경기부진으로 인한 가계 가처분소득 감소, 고금리 등이 신규수요를 제한하여 전년대비 1.7% 감소한 171만대로 전망된다.


수출은 선진시장의 경제성장률 둔화, 전년실적 호조에 따른 역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미국, 유럽 등 주요시장의 수요 정상화와 선진시장 하반기 금리 인하로 인한 소비심리 회복 등으로 전년대비 1.9% 증가한 275만대로, 수출액은 3.9% 증가한 715억불이 예상된다.(MTI 741 기준)


생산은 경기부진 지속에 따른 국내 수요 위축에도 견조한 글로벌 수요를 바탕으로 한 수출 증가로 전년대비 0.7% 증가한 417만대로 전망된다. 공급망 불안이 해소되며 차량생산 정상화로 업체별 공장 가동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반도체 부족 등 공급망 차질로 인한 병목현상 해소로 생산이 정상화되며 대기수요를 빠르게 충족시켜 전년대비 8.5% 증가한 9,102만대 수준으로 예상된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은 11% 증가 △서유럽은 11.5% 증가 △일본은 11.4% 증가 △러시아를 포함한 동유럽은 21.3%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국내 자동차산업은 반도체 수급이 개선되어 생산이 정상화되고, 누적된 이연수요의 해소로 내수와 수출 모두 회복세를 보였다. 내수는 반도체 등 부품 수급 상황이 개선되고 생산과 공급이 원활해지면서 상반기 대기수요가 빠르게 소진됨에 따라 상고하저의 흐름으로 증가폭을 축소, 전년대비 3.3% 증가한 174만대로 추정된다.


수출은 미국 및 유럽 등 주요 시장의 경기침체 우려에도 견조한 수요가 지속되며 전년대비 17.4% 증가한 270만대 수준이 예상되며, 2016년 이후 최고의 실적을 달성할 전망이다. 특히 전기차 수출은 전년도 미(美) IRA법안 통과로 위축이 우려됐으나 정부의 적극적인 통상협상과 제작사의 상업용 리스 및 렌트카 판매비중 확대로 1~10월 기준 전년대비 대미 수출은 77% 증가했으며 전체 전기차 수출은 전년대비 66.3% 증가했다.


생산은 국산차 내수의 3.3% 증가와 수출 17.4% 증가의 뚜렷한 회복세가 이어져 전년대비 10.2% 증가한 414만대가 예상되면서, 2017년 이후 최대 실적과 2019년 이후 5년만에 생산 400만대를 회복할 전망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강남훈 회장은 “내년도 국내 시장은 전년도 역기저 효과와 경기부진 등으로 자동차 소비 여력이 위축될 우려가 있는 바, 이로 인해 경영 악화가 가중되지 않도록 개별소비세 감면, 노후차 교체구매 지원 등 다양한 소비 지원과 인센티브가 필요”하며, “국내 높은 인건비와 경직된 노동유연성은 생산 및 투자 유인을 저하시키고 있어,생산경쟁력을 확보하고 자동차 수요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근로 제도가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5588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