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차세대 선박의 점유율 80% 달성을 목표로 기술개발, 제조 시스템 고도화 등을 위해 2028년까지 7,100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는 15일 8시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K-조선 차세대 선도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은 중국의 기술추격, 온실가스 규제 강화 등 우리 조선산업의 대내외적인 위협 요인에 선제 대응하고 차세대 조선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산업 경쟁력을 높여 세계 1위 K-조선의 위상을 공고히 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부는 3대 정책방향으로 △미래 초격차 기술 선점 △제조 시스템 고도화 △법·제도 인프라 정비를 제시하고 2028년까지 7,100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집중 투입해 차세대 선박 점유율을 80% 이상(現 56.3%)을 달성할 계획이다.
미래 초격차 기술 선점을 위해 탄소저감 미래선박 기술 확보 차원에서 ‘28년까지 2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액화천연가스(LNG), 암모니아, 수소 등 3대 탈탄소 핵심연료 기술 상용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LNG·암모니아 선박의 2030년 세계시장 점유율을 1위로 올리고 수소선박도 세계 최초로 중형선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디지털 경쟁력 확보를 위해 ‘25년까지 1,6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자율운항선박 조기 상용화를 추진한다. 산업을 떠받칠 산업인력 확보를 위해서는 연간 3,000명 이상의 핵심 기술인재를 양성하고 해외 연구기관 협력을 통해 공동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생산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제조시스템 마련을 위해 ‘27년까지 1,500억원을 투입해 설계·생산 등 디지털전환(DX)과 로봇 보급으로 생산성과 공기를 현재대비 30%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중장기 외국인력 수급전망을 토대로 연수형 비자(D-4-6) 확대 등 비자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한다.
중소형 조선사와 기자재 산업의 자생력 강화를 위한 미래선박 기자재 기술개발에 ’28년까지 약 2천억원을 투입한다. 구체적으로는 △중대형 선박용 전기추진기 등 8종 핵심 기자재 △CO2 재액화 등 핵심 기자재 △CO2 포집 및 처리 기술 및 풍력 추진 보조장치·축발전기 △원전을 활용한 해양플랜트 개발에 필요한 소형모듈원전 등이 개발될 예정이다.
조선산업의 수주와 수출 확대를 위한 금융지원 인프라 개선의 일환으로 중형사를 대상으로 정책금융기관 및 민간의 RG 발급 여건을 마련하고, RG 한도 부족분에 대해 무보의 특례보증을 적극 지원한다.
지속가능한 성장 촉진을 위해 전·후방 산업, 대·중·소 기업 등 상생협력 기반을 강화해 나가고, ‘차세대 조선산업 기술혁신 및 산업화 촉진법(가칭)’을 제정해 기술개발 및 상용화 촉진 등을 위한 체계적인 정책적 지원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자율운항선박 실증지원센터(울산), LNG단열재 실증센터(목포), 액화수소 실증센터(미정) 등 지역별로 테스트베드 인프라를 구축해 기술 실증 및 트랙레코드 확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장영진 산업부 1차관은 “글로벌 조선 시장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어 우리 조선산업도 과거 불황을 딛고 재도약을 위한 기회가 크게 열리고 있다”면서 “K-조선이 앞으로도 세계 1위 산업으로 차세대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이 힘을 모아 경쟁력 강화에 모든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밝혔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55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