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예산안에서 삭감된 사업의 10개 중 6개가 연구개발(R&D) 사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부장과 반도체·인공지능·우주 등 미래 산업도 예외가 없어 미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예산안을 다시 돌려야한다는 주장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정문 국회의원(충남 천안병)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과기부 사업 631개 중 삭감된 사업은 절반이 넘는 317개(50.2%)였고, 예산 규모는 2023년 대비 2조284억원(20.5%) 삭감된 7조8,560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삭감된 317개 사업중 R&D 사업이 193개(60.8%)에 달해 R&D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낙후된 인식이 여실히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회계별로 살펴보면 일반회계에서는 194개 사업이 삭감되어 전체 삭감 사업 317개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삭감 규모도 1조1,094억원으로 전체 삭감액의 절반이 넘었다.
특히 문재인 정부에서 일본수출 규제를 대비해 설치한 ‘소부장 특별회계('21.7월)’는 총 12개 사업 중 10개가 삭감됐으며 예산도 18.4% 줄었다. 주요 삭감 사업을 살펴보면 △나노소재기술개발(2,230억원, -11.2%) △3D프린팅산업 육성기반 구축(133억원, -9.3%) △소부장분야 전문인력 양성(43억원, -51.9%) △미래소재디스커버리지원(108억원, -55.2%) 등이 있다.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설치한 ‘기후대응기금('21년)’도 10개 사업 중 9개가 삭감됐으며 예산도 46% 줄었다. 이중 바이오매스기반 탄소중립형 바이오플라스틱 제품 R&D 사업예산은 90%나 삭감돼 4억원에 불과하다.
삭감 비율별로는 지역문제를 주민과 연구자가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함께 해결하는 ‘국민공감·국민참여 R&SD 선도사업’은 96.4% 삭감됐다. ICT 중소기업·스타트업을 지원하는 ‘ICT R&D 혁신바우처지원’, ‘민관협력기반ICT스타트업육성’ 사업도 90% 이상 삭감됐다. 80% 이상 삭감된 사업은 53개로, 주로 기업지원, 사회문제 해결, 안전기술 개발 등 국민 일상생활과 밀접한 사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에서 중섬 육성하겠다고 밝힌 반도체·인공지능(AI)·양자·우주·데이터 등도 삭감됐다. 신규사업이 일부 추가됐지만 정상 진행 중인 사업을 일방적으로 삭감하고 다른 신규사업을 추진한다 해서 제대로 된 연구개발이 진행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현장의 목소리가 크다.
인공지능반도체 혁신기업 육성, 인공지능챌린지선도기술개발사업, 인공지능중심산업융합집적단지조성 등은 약 90% 삭감됐고, 정지궤도공공복합통신위성개발, 차세대중형위성개발 등도 약 40% 줄었다.
과기부 소관 출연연구기관에 대한 연구운영비도 '23년 3조 3,518억원 대비 5,720억원(17.1%) 삭감된 2조7,797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운영비 삭감 일부 보전을 위해 ‘출연연 시설 지원’ 예산을 신규로 배정하였지만 삭감된 운영지원비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데다, 사업별로 분절돼 오히려 기관운영의 자율성이 크게 제약됐다.
이밖에 △과학기술인력 육성지원 기반구축 △디지털전문·융합인재양성(29,743백만원 삭감) △인재활용확산지원사업 등 인재·인력양성 7개 사업에 대한 예산이 939억원 삭감됐다. 도입된 지 5년이 채 안 된 강소특구 지원 예산도 20억원에서 16억원으로 삭감돼 최소한의 운영도 어려운 상황이 됐으며, 두 차례 유찰로 도입 여부가 불투명해진 6호 슈퍼컴퓨터 도입 예산도 일부 삭감돼 사업 추진 여건이 더욱 어려워졌다.
이정문 의원은 “24년 과기부 예산은 ‘미래無, 안전無, 국민無, 인재無, 중소기업無’의 5無 예산안”이라고 평가하며, “R&D 예산을 20% 이상 삭감했다는 것은 연구를 하지 말라는 것과 마찬가지로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난도질해놓은 과기부 예산을 하나하나 살펴보고 원래대로 돌려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54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