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첫째 주 국제 유가가 중국 인민은행의 실물경제 지원 약속과 미국의 원유재고 감소 등으로 인해 상승했다. 다만, 미 연준의 금리인상 및 달러화 가치 상승, 중국 내 코로나 확산 등으로 두바이·오만 유종은 소폭 하락했다.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센터(PISC)가 발표한 ‘11월 1주 주간 국제유가동향’에 따르면 대서양 유종인 브렌트(Brent)유의 평균가격은 전주대비 배럴당 0.04달러 상승한 95.08달러를 기록했고,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주대비 1.31달러 상승한 88.27달러를 기록했다.
중동 유종인 두바이(Dubai)유는 전주대비 배럴당 0.53달러 하락한 90.73달러를 기록했으며, 오만(Oman)유도 전주대비 0.61달러 하락한 90.73달러를 기록했다.
부문별 유가 변동 요인을 살펴보면, 국제 금융 부문에서는 중국 인민은행의 실물경제 지원 약속 등은 유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통화정책을 유지하면서 실물 경제 지원을 강화하고 위안화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민은행은 신용대출 지원을 강화하고, 투자확대, 취업 유발, 소비촉진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경기 둔화 우려가 다소 완화되며 유가가 상승했다.
반면, 미 연준 금리 인상 결정, 미 달러화 가치 상승 등은 유가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 11월 2일 미 연준은 4차례 연속 75bp 금리 인상을 결정하며 물가 목표 달성을 위해 추가 인상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다만 추후 금리 인상은 그간의 통화정책 긴축 시차를 두고 경제와 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 상황 전개를 감안해 결정될 것이라 밝혔다.
또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인상 중단 고려는 시기상조로 다음 회의나 그 이후에 속도를 늦추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너무 빠른 긴축 철회라는 실수를 범하지 않을 것이라 밝혔고 최종 금리 수준이 예상보다 높을 수 있다고 발언했다.
영란은행은 영국 경제가 2024년 상반기까지 지속 위축되며 역사상 가장 긴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올해 하반기 GDP 0.75% 위축)하며 실업률이 6.5%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미 연준의장의 매파적 발언, 영란은행의 경기침체 전망 및 영란은행과 유럽중앙은행이 미 연준보다 덜 매파적으로 움직일 것이라는 시장의 평가 등으로 미 달러 인덱스는 전주 대비 약 0.9% 상승해, 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석유 수급 부문에서는 미국의 원유재고 감소 등이 유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10월 28일 기준으로 미국 상업 원유재고는 전주대비 311.5만 배럴 감소한 4억 3,683만 배럴을 기록했다.
반면,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 등은 유가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 중국 광저우, 정저우, 우한 등의 지역에서 코로나19가 확산돼 방역조치가 강화되며 중국의 석유 수요 우려가 부각됐다.
또한 Vitol사 CEO는 올해 초 에너지 가격 급등 이후 많은 국가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고, 앞으로 몇 달 동안 계속해서 석유수요 파괴 시그널을 보게 될 것이라 발언했다. OPEC 사무총장은 올해 4분기 공급과잉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경제 성장에 대한 높은 불확실성으로 내년 초에도 공급과잉이 예상되고 이로 인해 OPEC+는 감산이라는 선제적인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지정학 부문에서는 이란의 역내 공격 가능성 경고 등이 유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사우디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이란이 사우디, 이라크 북부 Erbil 지역 공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미국과 공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로이터 통신은 11월 3일, G7(미국·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일본)과 호주가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 적용 시, 고정된 가격 상한선을 적용하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산 원유 가격에 상한제를 도입할 경우 원유공급이 더욱더 빠듯해질 것이라는 전망의 영향을 받아 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 5월 미국 재무부는 러시아 석유를 공급하되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전쟁 자금 조달을 차단하기 위해 가격상한제 추진을 제시했으며, 이후 G7 및 유럽 국가들 사이 관련 논의가 이어져 와 G7과 호주가 동참하기로 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5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