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2-09-02 15:20:19
  • 수정 2022-09-05 07:35:48
기사수정


▲ 김승록 에어프로덕츠 코리아 사장(左 다섯 번째)과 임직원들이 ‘H2 MEET 2022’에 마련된 부스에서 기념촬영에 응하고 있다.


세계적인 수소 메이커 에어프로덕츠의 한국법인 에어프로덕츠 코리아(대표 김승록)가 블루수소, 액화수소, 암모니아, CCUS(탄소포집활용저장) 등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기술을 전 세계에 확대하고 있다.


에어프로덕츠 코리아는 8월31일부터 9월3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글로벌 수소산업 전시회 ‘H2 MEET 2022’에 부스를 마련하고 자사의 수소 및 CCUS 기술을 중점 소개했다.


에어프로덕츠는 25년 이상의 충전소 설계 경험과 60년 이상의 수소 생산 경험을 바탕으로 수소 생산, 액화, 저장, 운송부터 혁신적인 충전 시스템 및 관련 인프라까지 포괄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천연가스와 정유 부산물 등 다양한 원료에서 수소를 뽑아낼 수 있는 원천 기술을 갖고 있으며 공장 운영 노하우와 수소 액화 등 저장, 수송 관련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에어프로덕츠는 액체수소 생산설비를 1963년 뉴올리언스에 최초로 구축해 NASA에 공급했으며, 올해부터 2024년까지 4기 이상의 액체수소 플랜트를 추가해 일일 최대 30톤 급을 운영할 예정이다.


에어프로덕츠는 전 세계 20개 이상의 국가에서 250개가 넘는 수소 충전소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에어프로덕츠의 노하우가 집약된 충전 프로토콜인 H2FM™(Hydrogen for Mobility)는 다양한 수소 모빌리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미국의 SAE J2601 표준(국제 자동차 기술자 협회)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티에 위치한 미국 최대의 수소 버스 충전소인 OCTA에 H2FM™ 기술이 적용됐으며, 일 50대의 버스를 충전(~200kg/hr) 할 수 있다.


탄소 배출이 없는 친환경 에너지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선도하고 있는 에어프로덕츠는 사우디아라비아 북부에 건설할 예정인 미래 신도시 NEOM의 풍부한 태양광과 풍력을 활용해 연 120만 톤의 그린 암모니아를 생산 및 전 세계 수출한다. 이를 통해 연 300만톤의 탄소 배출을 감축한다.


또한 캐나다 알버타주에 탄소중립수소 에너지 단지를 조성해 ATR(Auto-Thermal Reforming), 탄소 포집 및 저장, 수소 발전을 결합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있다. 수소 생산 시 발생하는 95%의 탄소는 포집해 지하에 저장되며, 5%는 수소 발전에 생산되는 전략을 통해 상쇄한다.


미국 루이지애나 주에서는 블루수소 에너지 단지를 조성해 25개의 수소생산설비를 운영하며 연간 150만톤의 수소를 걸프해안의 1,100km의 파이프라인으로 고객사에 공급 중이다. 또한 루이지애나 주에 연간 5백만톤 이상의 탄소를 포집해 지하에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세계 최대규모의 CCUS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프로젝트를 통해 에어프로덕츠는 2030년까지 CO2를 2015년대비 1/3 감축하겠다는 ‘Third by ’30’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에어프로덕츠는 한국에서도 수소 사업을 적극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4월 현대오일뱅크와 수소 에너지 활용을 위한 전략적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해 제조 기술을 제공하며, 나아가 그린 수소 사업 모델개발을 추진한다. 현대오일뱅크는 2025년까지 블루수소 10만톤을 생산, 판매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에어프로덕츠 코리아는 수소 그린모빌리티 규제 자유특구인 울산에 수소 충전소를 개소했으며, 현대차와 수소상용차 보급 확대를 위한 양해각서 체결, 한국석유공사와 청정수소·암모니아 사업 추진을 위한 MOU 체결 등 수소 경제 활성화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김승록 에어프로덕츠 코리아 사장은 “세계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검증받은 지속 가능한 청정에너지 솔루션의 상용화를 위해 밸류체인 구축과 기술개발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 에어프로덕츠의 청정에너지 밸류체인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모형이 전시됐다.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5013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관련기사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