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코로나19 급증 및 러-우 사태 장기화 등 경기 회복세 약화로 인해 올해 경제성장률을 당초 전망치인 2.9%보다 낮은 수치인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의 2.5%로 전망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2년 1/4분기’ 보고서를 통해 8일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교역조건 악화와 최근까지 진행된 오미크론 확진자 급증 등의 영향으로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 2.9%에서 2.5%로 0.4%p 하향 전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기저효과가 점차 약화되고, 중국의 경기둔화에 따라 수출의 성장세마저도 꺾이고 있는 상황 역시 성장률 하향전망의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다.
한경연은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선을 돌파하면서, 원유 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의 큰 타격이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오랜 기간 경제여건 부실화가 진행됐고, 정책적 지원여력마저 소진돼 성장률 하향전망이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내수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는 2.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2021년 민간소비 성장률 3.6%보다 0.8%p 낮은 수치다. 그동안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여 왔던 민간소비는 백신보급 확산에도 불구하고 오미크론 확진자 급증 여파로 재(再)위축 흐름을 보일 전망이다.
특히, 자영업 부진이 지속되면서 소득기반이 약화된 데다 빠른 금리인상으로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부담마저 커지면서 소비여력이 크게 줄어들었다. 여기에 급격한 물가인상으로 인해 소비심리가 위축된 것도 민간소비 회복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부문에 대한 공격적 투자지속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라 주요국의 경기회복세가 약화되며 2.1% 성장에 머물 전망이다. 2021년 설비투자 성장률 8.3%에 비해 6.2%p 낮은 수치다.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억제 의지로 부진을 지속해 온 건설투자는 공공재개발 등 정부주도의 건물건설 증가에도 불구하고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라 공사차질이 현실화되면서 1%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건설투자가 역성장(△1.5%)했던 2021년에 비해서는 개선됐지만 2018년 말 지정된 3기 신도시가 아직 착공에 들어가지도 못하는 등 개발사업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건설투자 회복세가 더딘 모습이다.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 및 수급불균형 현상이 광범위하게 작용하면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1년 2.5%보다 1.3%p 높아진 3.8%로 전망됐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공급 측 요인 외에도 방역조치 완화로 서비스 가격 상승압력이 커질 전망이다. 여기에 그동안 코로나19로 지연됐던 공공요금 인상이 올해 순차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여 물가상승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한국경제의 성장을 견인해 왔던 수출도 지난 해 높았던 실적에 대한 역(逆)기저효과와 중국의 성장세 둔화에 따른 영향으로 2.4%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수출 성장률 9.9% 보다 7.5%p 낮은 수치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지정학적 리스크 심화에 따른 주요국의 경기회복세 둔화로 교역조건 악화가 장기화될 경우에는 수출증가세가 더욱 둔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경상수지는 수출 증가폭을 뛰어넘는 수입의 급증과 서비스수지 적자가 확대되면서, 지난해 883억 달러에서 올해 192억 달러 수준으로 내려오게 될 것으로 전망됐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48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