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1-12-15 14:30:48
기사수정

▲ 초저가, 초고효율 공정을 통한 광유전학 및 뇌파 진단용 플렉서블 투명전극 개발


빛을 투과시켜 뇌 신경을 자극하면서 신경세포의 반응을 측정할 수 있는 저비용 투명전극이 개발돼 생체삽입형 디바이스 개발의 실마리를 제공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유기준 연세대 교수 연구팀 등이 뇌 신경을 빛으로 자극하고 동시에 뇌에서 나오는 파형을 기록할 수 있는 생체 삽입형 투명전극을 저비용, 고효율로 제작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기존에는 투명한 그래핀이나 ITO, 그물이나 다공성 구조의 금속을 생체 삽입형 소자의 전극 소재로 활용했지만, 고온 공정 및 추가적인 필름 위로의 전사 방식으로 인해 공정이 복잡했다.


이에 전극 소재로 구조적 다변성을 지녀 저온에서도 전기 전도성을 제어할 수 있고 스핀 코팅 공정이 가능해 제작이 쉬운 전도성 고분자(PEDOT:PSS)에 대한 관심이 이어졌지만 물에 취약해 패턴 공정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포토 공정 이후에 박막을 형성하는 리프트-오프 공정 기법을 도입해 전도성 고분자의 특성을 고려한 단층 패턴 공정을 크게 단순화했다. 또한 전도성 고분자 배열을 첨가제에 담가 코일처럼 복잡하게 배열된 전도성 고분자를 선형으로 변환, 전하가 지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해 전도성을 크게 높였다.


이를 통해 제작공정의 단순화와 전도성 향상, 노이즈 없는 투명성도 최대로 확보해 기존 전극으로는 확보할 수 없던 세포의 구조적 활동을 확인, 뇌조직 이미징 가림 현상을 해소했다.


고분자 기반 투명전극을 실제 쥐 뇌 대뇌피질에 삽입, 빛으로 대뇌피질을 자극하는 데 성공했고, 질환 모델 생쥐에 뇌전증 발작을 일으키는 약물을 주입해 뇌 전기생리학적 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투명전극의 성능을 확인했다.


금속 기반의 기존 전극 투명도 ~30% 대비 이번에 개발한 투명전극의 투명도는 ~87%로, 빛이 금속 표면과 만나 생성되는 전기에너지가 잡음을 발생시켜 정확한 전기생리학적 측정을 어렵게 하는 광전 아티펙트 문제를 해소했다.


연세대 유기준 교수는 “특정 파장의 빛을 신경세포에 전달해 표적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성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려는 광유전학 및 뇌 관련 난치병 질환 분석을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중견연구지원 사업과 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11월28일 게재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4712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