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화석연료를 사용하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안전하게 육상 및 해양지중에 저장할 수 있는 유망 저장소가 최대 11.6억톤까지 저장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와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한국 CO2 저장소 유망구조 및 저장용량 종합평가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하고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이하 CCS)을 위한 국내 해양 이산화탄소 저장소 유망구조 및 저장 가능 용량 평가 결과를 3일 발표했다.
그간 국내 CCS 저장소 위치와 규모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있었으나 평가 기준 및 분석방법이 달라 저장규모가 상이했다. 정부는 유망구조, 저장용량 도출을 위해 국내 CCS 저장용량 종합 재평가를 추진했다.
정부는 국내 전문기관이 대거 참여하는 합동연구단을 구성, 6개월간 자료분석 및 평가를 마치고 이번 심포지엄에서 최종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합동 연구단장을 맡은 권이균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국내 CCS 저장 유망구조 도출을 위한 평가기준 체계와 저장용량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단은 민국 에너지부 기준을 참조하여, 기술적 평가기준을 마련해 사업추진 조건과 환경을 고려한 한국형 평가체계를 수립해 적용했다.
기준에 따른 종합평가 결과 연구단은 국내 이산화탄소 저장 유망구조는 약 7.3억톤 규모가 될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평가 결과 도출된 7.3억톤과 더불어 추가 탐사 및 시추, 기술개발로 최대 11.6억톤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망구조 7.3억톤은 기존 추정규모인 6억톤보다 1.3억톤을 상회하며, 연 24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30년간 저장 가능한 규모다.
또 2단계 잠재지층 86억톤 중 유망구조 수준의 저장소 2억톤 추가 시, 9.3억톤 저장이 가능하며,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상 CCS를 통한 국내 저장규모인 연 3천만톤 이상이 가능하다.
아울러, 기술개발을 통해 저장효율 향상(25%↑)시, 2.3억톤 저장 규모 추가로 최대 11.6억톤 저장가능할 전망이다. 이는 연간 3,870만톤 규모로 환산가능하다.
강경선 에너지산업실장은 축사를 통해 “CCS 기술 조기 실현을 위해 관계 부처가 협력, 저장소 확보, 기술개발, 국제협력 등에 예비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30년까지 최대 1.4조 규모의 투자를 추진할 계획임”을 밝히며 “관련 기업 및 연구기관도 CCS 기술 개발 및 저장소 조기 확보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46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