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마이크로미터의 초 투명 금속배선을 안경 표면에 인쇄해 미세 전력으로 순식산에 김서림·습기·성애를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강봉철 금오공과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안경을 포함한 다양한 웨어러블 광학기기의 김서림을 순식간에 제거할 수 있는 초투명 배선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지난 7일 밝혔다.
오래전부터 안경 착용자들은 잦은 김서림 문제와 성애로 고통을 받아왔다. 이 같은 상황은 최근 착용이 증가하고 있는 가상현실(VR) 기기, 스포츠 고글에도 적용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열선코일을 안경에 부착하는 방법이 제시됐지만, 시야를 방해하기 때문에 눈 가까이 사용하기 어렵고 다양하게 나오는 안경 디자인에 수월한 적용이 힘들었다.
이에 연구팀은 육안은 물론이고 돋보기로도 보이지 않을 만큼 얇은 금속 배선을 안경의 곡률과 형상에 상관없이 단번에 형성할 수 있는 배선 인쇄기술을 개발했다.
1마이크로미터(μm)의 초투명 금속 배선을 안경 표면에 형성한 것이다. 미세 전력으로도 금속 배선이 쉽게 가열돼 순식간에 습기를 제거해준다.
핵심 기술은 ‘레이저 필라멘트 성장 소결’이라는 신개념 금속 배선 인쇄기술이다. 전구의 필라멘트처럼 얇고 가느다란 레이저 초점을 은 나노입자와 유기화합물이 섞인 용액에 쪼여주면 투명한 초미세 배선을 안경알 위에 제작한다.
머리카락 굵기의 100분의 1정도인 초 투명 금속 배선은 플라스틱, 필름, 유리 등 다양한 소재에, 형상과 곡률에 상관없이 제작될 수 있다. 기존 기술과 달리 흐릿하고 어두워지는 왜곡현상이 없고, 유리 수준인 98% 이상의 빛 투과율을 확보했다.
강봉철 교수는 “기존 인쇄 전자기술의 해상도를 5배 이상 향상 시킨 것으로서 제조기술 혁신을 통해 불가능·비상식적인 개념을 새로운 기능과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제품으로 탈바꿈시켰다”라며, ”김서림·습기·성애 제거를 위해 안경, 스마트 글래스, VR 기기, 스포츠 고글, 특수 안경, 헬멧 등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의 적용이 기대된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 성과는 교육부·한국연구재단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터리얼즈 케미스트리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C) 8월7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