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구원이 항공기 엔진이나 가스터빈 부품과 같이 고온의 열을 견딜 수 있는 합금소재를 만들 수 있는 3D 레이저 프린팅 기술을을 상용화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하재주)은 3D프린터로 ‘산화물 분산강화’ 합금을 만들 수 있는 신기술을 기술보증기금 광주기술융합센터 중개 하에 ㈜퓨전테크놀로지에 정액기술료 1억 5천만 원에 매출액 1.5%를 경상기술료로 지급받는 조건으로 이전하고 12일 연구원에서 기술실시계약 체결식을 갖는다.
산화물 분산강화 합금은 금속 재료에 고온에 강한 산화물을 섞어 만든 합금이다. 비행기 엔진, 원자로 부품, 가스 터빈, 미사일 노즐 등과 같이 고온 강도와 내열성이 필수적인 국방, 에너지, 항공우주 산업 등에서 핵심 부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산화물 분산강화’ 합금기술은 최종 제품을 만든 후, 제품 금속 표면에 산화물 입자를 도포하고 3D 프린터의 레이저 열원으로 금속을 녹이면서 동시에 산화물 입자를 혼합, 냉각해 금속 내부에 내열층을 만들어낸다.
연구원은 기존 기술대비 가공 시간과 비용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부분만 강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산화물 분산강화’ 합금을 포함한 내열 금속 시장은 산업 고도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재주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은 “산화물 분산 강화 소재는 미국, 일본 등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고부가가치 소재로, 국방, 항공우주 등 다양한 첨단 산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내열금속과 같은 특수금속의 수입대체 및 수출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