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메탄올-수소 변환·충전소 가동
유은주 기자
2023-02-20
-
GIST, 니켈 촉매 수소발생효율 40%↑
유은주 기자
2023-02-20
-
청주시, 수소전기차 380대 보급
청주시가 무공해차 보급 촉진을 위해 2023년 수소전기차 380대에 대당 3,35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청주시는 2023년도 수소전기차(승용) 구매 지원사업 공고에서 일반대상 340대, 우선순위 40대로 총 380대의 수소전기차의 구매 지원보조금을 지급한다고 17일 공고했다.신청기간은 2월 20일부터 12월 15일까지다. 보급대수는 380대로 일반대상 340, 우선순위 40대다. 우선순위 대상은 취약계층(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상이유공자, 독립유공자 등), 다자녀 가구(만18세미만 3자녀이상), 생애최초 차량구매자, 미세먼지 개선효과가 높은 차량 구매자(택시, 경유차 폐차 후 수소전기차로 대체 구매자)이다. 지원금액은 대당 정액지원으로 3350만원을 지급하며, 국비 2250만원, 도비 220만원, 시비 880만원으로 구성된다. 보급차종은 ‘자동차관리법’,‘대기환경보전법’등 관계법령에 따라 자동차와 관련된 각종 인증을 모두 완료한 차량으로 현대자동차의 넥쏘이다.보조금 지원대상 및 자격은 신청일 기준 90일 이전부터 연속하여 청주시에 주소를 둔 개인 또는 신청일 당시 청주시 소재 법인·기관 등(보조금 지급 시까지 거주요건 유지)이다. 만 18세 이상 개인 또는 개인사업자(자동차 운전면허시험 자격 최소연령), 혹은 청주시에 주소를 둔 사업장(본사, 지사, 공장 등)이 위치한 법인 및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신청인은 수소전기자동차 제조수입사에 방문하여 상담 후 구매계약을 체결해야하며, 제조수입사는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시스템(www.ev.or.kr/ps)으로 신청서를 제출하면된다.구매 지원신청서 제출하기 전 수소전기자동차 제조·수입사와 차량 구매계약을 체결해야하며 자동차 최초등록 사용본거지를 청주시로 등록해야한다. 지원대상자로 결정(자격부여)된 날로부터 2개월 이내 출고 가능한 차량에 한해 신청 가능하다.자세한 내용은 청주시 기후대기과 미세먼지관리팀(043-201-4984)으로 문의하면된다.
유은주 기자
2023-02-20
-
삼척시, 액화수소드론 시연회
유은주 기자
2023-02-20
-
국토부, 수소도시 조성사업 활력 더한다
유은주 기자
2023-02-17
-
창원시-경남은행, 수소차 충전요금 할인
창원시와 경남은행이 2월부터 고나내 수소충전소 요금을 할인해주는 그린카드 충전요금 할인이벤트를 실시한다.창원특례시(시장 홍남표)는 경남은행과 협의하여 올해 2월부터 관내 수소충전소에서 사용이 가능한 그린카드 수소차 충전요금 할인 이벤트 실시를 통해 서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정책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연일 휘발유와 경유 가격 인상 이슈 등으로 서민들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가운데 시는 수소차량 이용 고객들에게 수소가스 충전요금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경남은행과 지속적으로 업무협의를 진행했다. 경남은행은 이러한 창원시의 제안에 응해 수소차 이용객을 대상으로 수소가스 충전시 할인혜택을 주는 그린카드를 본격적으로 발급하기로 결정했다. 기존 창원시 수소충전소의 가맹점이 적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범위가 좁았으나, 이번 합의로 창원시 관내 전 수소충전소를 추가하여 혜택 범위를 넓혔다.해당 그린카드는 수소차량 충전시 전월 카드 사용실적에 따라 월 최대 3만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 카드 발급 및 이용에 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경남은행 영업점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그린카드는 창원시 관내 8개소 수소충전소(팔룡·성주·덕동·중앙·죽곡·사림·가포·대원)에서 이용할 수 있다.창원시는 현재 지방자치단체 중 최대 규모인 수소승용차 1400대, 수소버스 35대를 보급하고 있다. 수소차 이용객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자 취득세, 자동차세 감면 등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에는 민간기업인 경남은행을 적극적으로 설득하여 시민들이 수소차에 대한 경제적 부담의 진입장벽을 낮춰 수소차량 이용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했다.류효종 미래전략산업국장은 “수소차 이용 시민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고 일반시민들도 수소차에 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기관과 업무협의를 통해 수소차 이용 시민들을 위한 편의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수소산업도시 환경 조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유은주 기자
2023-02-17
-
지난해 세계 수소차 전년비 18%↑
유은주 기자
2023-02-17
-
“수소모빌리티 확대, 액화수소 인프라 및 가격 지원 必”
유은주 기자
2023-02-16
-
수소버스 400대 대량보급 시범사업 추진
유은주 기자
2023-02-14
-
두산퓨얼셀-남호주-하이엑시엄, 수소산업 육성
유은주 기자
2023-02-13
-
세계수소산업연합회, 美서 3차총회 개최
유은주 기자
2023-02-13
-
포스텍-GIST, 싸고 빠른 수소생산 촉매 개발
유은주 기자
2023-02-09
-
SK에코플랜트, 글로벌 최대 환경·E시장 본격 공략
유은주 기자
2023-02-09
-
UNIST, 국제 수소공급망 최적화
유은주 기자
2023-02-09
-
창원대, 폐플라스틱 활용 수소생산 촉매 기술 이전
유은주 기자
2023-02-09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5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6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7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